|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지난달부터 산발적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이 확진자 증가를 경고했지만, 정부는 1000만명 분의 소비쿠폰을 지급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여름휴가 기간에도 비슷한 모양으로 2차 대유행을 겪은 바 있다”면서 “비슷한 사안에 대해 정치적으로 접근하고 선별적으로 대응하니 같은 실수가 반복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최근 민주노총 집회 허용을 두고도 “국민 안전보다 민노총 권리가 먼저였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질병관리청 승격이 정치적 이벤트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대본 통제에 따라 정부 정책이 결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 EU, 일본 등 선진국들은 이미 상당량의 (코로나) 백신을 선점했다”며 “독감 백신 때 허둥지둥했던 모습에서 탈피해 백신 확보와 유통 준비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