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럼에는 해수부와 해양치유센터 조성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지자체, 해양치유 분야 전문가, 관계기관이 온라인 회의 프로그램을 통해 참석한다.
포럼에서는 해양치유 정책의 중·장기 추진 계획을 소개하고 각 지자체의 해양치유센터 설립 추진 경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해양과 산림을 연계한 치유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홍보전문가를 초빙해 해양관광자원으로서 ‘치유’ 콘텐츠를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한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현재 독일·프랑스·일본 등 해외 국가들은 이미 해양치유산업이 활성화돼 있다. 독일의 경우 해양치유를 포함한 치유산업 시장규모가 약 45조원에 이르며, 약 45만개의 관련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해수부는 해양치유산업 육성을 위해 2017년부터 우수한 해양치유자원을 지닌 지자체 4곳과 함께 연구를 추진해 왔다. 이를 토대로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올해 1월에는 중장기 육성 계획인 해양치유산업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는 등 해양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정책관은 “해양치유산업은 독일, 프랑스 등 외국에서는 활성화돼 있지만 국내는 아직 도입 초기로 인식과 인프라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관계 기관·지역 간 협력과 산학연 교류가 더욱 활성화되고, 해양치유 산업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