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공재개발 후보지 잇단 선정에 바빠진 LH·SH…촉박한 일정 예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330010019108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21. 03. 30. 04:00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로 선정된 서울 성북1구역 위치도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로 선정된 서울 성북1구역 위치도. /제공=국토부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가 1월과 3월 잇단 공공재개발 후보지를 선정하면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도 바쁜 일정을 예고하고 있다.

29일 국토부에 따르면 LH와 SH는 후보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열어 개략적인 정비계획과 사업성 분석 결과를 설명함과 동시에 주민의견 수렴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함께 후보지 심의시 제출된 개략계획에 후보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새로운 개략계획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계획 방안은 보강·수정 등을 거쳐 윤곽을 드러내게 되는데 확정되면 이르면 4월부터 설명회를 진행할 방침이다. 현 시점에서 그리 넉넉한 시간이 아니기에 촉박한 일정이 예상된다.

이후 설명회를 통해 정비계획의 주요내용과 이를 토대로 도출한 예상 분담금과 비례율 등 사업성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공시행자 지정 동의를 얻어야 한다.

이와 함께 개발 후보지가 위치한 서울 자치구와 연내 정비계획 수립절차 착수를 목표로 구체적인 사업 준비 작업에도 나서야 한다. 이번 사업 후보지 선정은 정부의 신속한 공급 기조와 무관치 않기에 속도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수상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이날 2차 후보지 선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번 공공재개발 사업을 투명하고 속도감 있게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공공재개발은 공공이 주도하는 사업이기에 LH와 SH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공공의 참여를 통해 개발 예정지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점을 발견, 장기적으로 정체된 재개발 사업에 활력을 줘야 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공급을 촉진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도 LH와 SH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나섰다. 시는 지난달 1차 후보지에 주민 의견을 상시 수렴하고 주민 갈등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 주민과 수시로 소통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LH와 SH의 원활한 설명회가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업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나설 방침이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