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중국 국토 60% 인공강우 운용 계획...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국토 60% 인공강우 운용 계획...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기사승인 2021. 07. 27. 11: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닛케이 "중국과 개도국, 인공강우 기술 이용 기상제어 계획"
"중, 2025년까지 국토 60%서 인공비·눈 내리는 기술개발 추진"
전세계 50여개국 인공 기후제어 추진
지구환경·생태계 파괴 가능성 제기 목소리
CHINA-HENAN-WEIHUI-FLOOD RESCUE(CN)
지난 26일 중국 허난(河南)성 신샹(新鄕) 주민들이 홍수를 피해 보트로 이동하고 있다./사진=신화=연합뉴스
중국과 개발도상국들이 인공강우 기술을 이용한 ‘기상 제어’에 뛰어들고 있지만 지구환경에 대한 영향과 국가 간 수자원 분쟁을 우려하는 지적이 많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27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중국이 2025년까지 국토의 약 60%에서 인공 비나 눈을 내리게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지난 1월 6일 자국 최초의 기상제어 드론 ‘간린(甘霖) 1호’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지금까지의 유인 항공기에 비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고, 이 드론 개발은 중국 정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대규모 기상 제어 계획의 일환이라고 닛케이는 평가했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전 국토의 약 60%, 550만㎢에서 인공적으로 비나 눈을 내릴 수 있는 능력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사상 최대 기상 제어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망했다.

아랍에미리트(UAE) 국립기상청은 18일 북동부 도시에서 드론을 활용한 새로운 인공강우 기술 실증 실험을 실시한 동영상을 공개했다. UAE는 50도에 가까운 폭염을 억제하기 위해 인공비를 내리게 했는데 일부 도시에서는 차량 운행이 어려울 정도로 폭우가 쏟아졌다고 닛케이가 영국과 현지 언론을 인용해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태국과 인공강우 관련 전문 지식·기술을 상호 지원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태국은 ‘왕립인공강우국’이 관련 기술 활용에 힘을 쏟고 있으며 최근 5년 동안 예산은 약 3배 늘었으며 2022년까지 7곳에 강우센터를 설치해 2037년까지 가뭄 영향을 받는 지역의 98%에서 물부족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닛케이는 밝혔다.

아울러 에티오피아는 건조지역에서의 농업 생산 능력 향상과 수력 발전에 이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멕시코 공군은 지난 3월 말 산불을 끄기 위해 화학 물질을 공중에 살포했다.

인공강우는 기상 제어의 일종으로 항공기에서 화학 물질을 구름에 뿌려 비가 내리게 하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에서 개발이 진행됐고, 세계기상기구(WMO)의 2017년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50여개국에서 시도하고 있다. 특히 드론 등의 기술혁신으로 그 시도가 최근 가속화하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하지만 인공강우 등을 통한 기상 제어가 지구환경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않아 잘못 사용하면 환경을 파괴할 수 있다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크다.

닛케이는 2018년 중국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폭우가 계속됐는데 이는 직전 상하이(上海)협력기구(SCO) 정상회의 때 화학 물질로 구름을 지우는 ‘소우탄(消雨彈)’을 대량 발사한 것이 날씨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있다고 닛케이는 밝혔다.

국제적인 규칙이 아직 정비되지 않아 국가 간 마찰의 가능성도 있다. 중국의 인공강우 계획에 대해 인도 등 현지 매체들은 ‘큰 위협’, ‘국제적 분쟁 초래’ 등의 비판 기사를 내보냈고, 이란군 간부는 2018년 ‘비구름을 훔친다’며 인공강우를 시도하는 이스라엘을 비난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