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이상반응 보상…전체 신고사례 0.7% 불과
|
이들은 수차례의 접종 기회에도 ‘접종을 받지 않겠다’고 선택했다. 예약 후 접종을 받지 않은 사례도 있다. 지난달 25일 기준 1차 접종자의 0.6%가 정해진 접종 기간 내 2차 접종을 받지 않았다. 예약 해놓고도 망설였다는 것이다.
단기간에 허가된 백신을 대규모로 접종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부작용을 완벽히 통제하지 못한 상황에서의 백신 접종 탓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하루가 멀다 하고 백신 접종 후 부작용과 사망사례를 성토하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정부는 이상반응 발생은 ‘극히 낮은 확률’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접종자 입장에선 부작용에 걸리느냐 마느냐 50%의 확률이기 때문이다.
접종률을 높여야 하는 정부가 선택한 방법은 ‘백신 인센티브’ ‘백신패스’다. 마치 못 먹는 음식을 왜 못 먹는지 묻는 것이 아니라 안 먹으면 선물을 안 준다는 식이다.
백신 접종 거부자들은 자의적 판단이 가능한 18세 이상 국민이다. 접종 후 부작용이 오면 백신 접종 전과 같은 생활이 가능할지, 접종하지 않아도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을 수 있을지, 이익과 불이익을 따지고 선택해야 한다. 정부가 백신 접종 시의 이익과 불이익을 따지듯 말이다.
이들의 접종 거부 이유는 단순명쾌하다. 백신 접종 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 3일 0시 기준 전체 예방접종 6524만5722건 중 이상반응으로 의심돼 신고된 사례는 28만5912건이다. 이 중 피해보상을 신청해 보상위원회에서 보상 결정을 받은 건수는 2030건(0.7%)에 불과하다.
코로나의 벼랑 끝에 내몰려 백신 접종 게임에 참여해도 지옥, 안 해도 지옥인 500만명이 처한 상황은 현실판 ‘오징어게임’과도 같다. 이들의 선택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