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청년이 살고 싶고, 관광객들 머물고 싶은 어촌 만든다

청년이 살고 싶고, 관광객들 머물고 싶은 어촌 만든다

기사승인 2021. 10. 18.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부처탐방> 해수부 어촌양식정책관·어촌어항재생사업기획단
어촌뉴딜300·귀어귀촌 등 적극 지원
주민 편의시설·레저관광 조성 확대
"어업인·정부와 소통 힘써 활력 업"
Print
우리 어촌의 인구감소가 심각하다. 어촌을 떠나는 어민들은 급격히 늘고 있지만 새로운 인구유입은 더딘 탓이다. 이에 더해 어촌인구의 고령화까지 빠르게 진행되면서 ‘어촌소멸’ 위기까지 대두되고 있다.

17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어가인구는 10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3.2% 감소했고, 어가수는 4만6000가구로 같은 기간 14.8% 줄었다. 어촌의 65세 이상 고령화율도 36.2%로 전국 평균치(15.7%)를 2배 이상 웃돌았다.

이처럼 활력을 잃어가는 어촌을 되살리기 위해 해수부는 어촌양식정책관(국)과 어촌어항재생사업기획단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먼저 해수부가 추진중인 대표적인 정책으로 ‘어촌뉴딜300 사업’을 꼽을 수 있다. 이 사업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진행되는 어촌 환경 개선 국책사업으로 어촌의 필수 기반시설을 현대화해 보다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11곳의 여객선 접안시설을 개선하고 19곳의 대합실, 여객복합시설 등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하는 등 해상교통 편의시설을 대폭 확충했다. 대표적인 성과로 TV예능 프로그램에 소개돼 우리에게도 익숙한 전남 신안 만재도가 있다. 해수부는 만재도 주민들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약 77억원을 투입해 접안시설을 확충하고 선착장을 정비했다.

최현호 해수부 어촌양식정책관은 “만재도는 어촌뉴딜 사업을 통해 목포-만재도 직항 여객노선이 생기고, 6시간 가까이 걸렸던 이동시간도 2시간으로 줄어 육지와 일일생활권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어민들이 어업활동을 돕기 위해 올해 44개의 어선 접안시설이 개선됐고 공동작업장 등 11곳의 기능편의시설과 어구·어망창고 등 25곳의 환경개선시설이 개선·신설됐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방파제 등 39개 안전시설이 설치됐으며, 마을회관 등 주민 편익시설 35곳과 레저관광시설 130곳도 조성됐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어촌 지역의 새로운 인구 유입을 위해 귀어·귀촌에도 힘쓰고 있다. 안정적인 어촌 정착을 위한 귀어 창업과 주택구입 지원금 규모를 지난해 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두 배 늘렸고, 온라인 교육과 박람회 개최 등으로 귀어귀촌에 대한 관심도 높였다. 정착 초기 어려움을 돕기 위한 맞춤형 컨설팅과 어업기술 등을 배울 수 있는 귀어학교를 개설해 안정적인 어촌정착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13년 650가구였던 귀어가구는 이듬해부터 매년 900가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직장생활을 접고 지난 2018년 38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전북 부안으로 귀어한 임종성씨는 “40대 후반쯤에는 바다로 제 삶의 터전을 옮겨야겠다고 늘 생각하고 있었는데, 귀어귀촌종합센터에서 교육을 받으면서 그 시기가 생각보다 조금 더 빨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귀어 초기 10개월간 꽃게잡이 어선에서 선원생활을 하는 등 고생도 했지만 ‘청년어촌 정착지원 사업’ 대상자로 선정돼 지금은 선장이 됐다”면서 “내년에는 단순히 고기만 잡는 데 그치지 않고, 냉동창고를 짓고 온라인으로 판로를 넓히는 ‘어업의 6차 산업화’도 계획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어업인 아닌 관광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 어촌체험휴양마을도 눈길을 끈다. 현재까지 전국 11개 시도 118곳에 조성된 어촌체험휴양마을은 어업체험을 중심으로 어촌의 자연환경·생활문화 등과 연계한 관광 인프라를 구성해 연간 수백억원의 관광효과를 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아름다운 낙조와 자연경관이 돋보이는 전남 함평 돌머리 어촌체험휴양마을은 핑크뮬리 정원 등이 젊은 층에 각광을 받으면서 지난해 방문객(5만7000여 명)이 전년보다 4배 가까이 증가하기도 했다.

최 정책관은 “어촌지역은 단순히 수산물 공급처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해양영토 수호와 해양수산 자원 확보 등 공익적 기능을 담당하는 상징성 있는 터전으로 반드시 지키고 보존해야 한다”면서 “앞으로도 해수부는 여러 세대와 다양한 직종을 어우르는 활기찬 어촌을 만들고, 양식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어업인, 지방정부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정책적 노력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