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보낸 화환도
일반 시민들 조문 행렬은 거의 없어
극성 지지자들과 보수 유튜버 현장 생중계하기도
|
빈소를 찾은 첫 주요 인사는 반기문 전 사무총장이었다. 전 전 대통령과 함께했던 옛 하나회 출신 군 인사들과 5공화국 인사들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빈소를 찾았다. 5공화국 헌법 기초작업에 참여했던 ‘6공 황태자’ 박철언 전 의원과 마지막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김용갑 전 의원을 비롯해 김진영 전 육군참모총장, 조남풍 전 국군보안사령관 등이 이날 빈소를 방문해 고인을 기렸다.
박 전 의원은 “국가 안보와 남북관계의 화해와 평화 통일로 나가는 길에, 드러나지 않은 전 전 대통령의 공력이 있었다. 실제로 김일성 주석은 NPT(핵확산금지조약)에 서명을 하기도 했다”며 “내외분께서 늘 (5·18에 대해) 가슴 아파하고, 어떻게든 희생과 유혈 사태가 있었으니 괴로워하시고 속히 치유되기를 기도하고 빌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노 전 대통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발표한 ‘6·29 선언’이 전 전 대통령의 설득으로 이뤄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24일 현재까지 해외 각국에서 외교부로 접수된 조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장이 아닌 닷새간의 가족장으로 치러지는 만큼 각국에 이를 통보하지 않았고, 외교부가 공식적인 조전 접수창구 역할도 하지 않고 있다. 외교 소식통은 “국가장이 아니고 가족장이면 외교부 관련 사항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통상 국가장이 결정되면 180여 개 재외공관에 조문소를 설치하고 해당 국가에 외교 공한을 발송한다. 이후 주재국 정부에서 자체 판단에 따라 조문을 하거나 조전을 보내는 것이 수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