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유가에 교통물가도 6.3% '껑충'
"물가상승세 지속…서민부담 가중"
|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작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2011년(4.0%)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다.
지출 목적별 12개 대분류로 나눠 보면 교통(6.3%)·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5.9%)·음식 및 숙박(2.7%)의 전년대비 상승률이 전체 상승률을 웃돌았다.
이 가운데 밥상물가로 불리는 식료품·비주류 음료와 교통 물가는 각각 1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농축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휘발유·경유·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 등 차량 연료 가격이 급등한 탓이다.
실제로 지난해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는 전년대비 각각 6.2%, 1.8% 올랐다. 품목별로는 우유·치즈·계란 11.4%, 과일 10.7%, 육류 8.4%, 식용유지 7.2%, 빵 및 곡류 6.3%, 채소 및 해조 4.2% 등이었다. 음식 및 숙박도 숙박 서비스 상승률은 0.5%에 그쳤지만, 외식 물가로 대변되는 음식 서비스(2.8%) 상승률은 높았다.
교통 물가의 경우 운송장비(승용차·자전거 등), 개인운송장비 운영(연료·윤활유, 유지·수리 등), 운송 서비스(철도·도로·항공 등)로 구성되는데 특히 개인운송장비 운영(11.1%) 물가가 많이 올랐다.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휘발유(14.8%), 경유(16.4%), 자동차용 LPG(18%) 등 연료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반면 지난해 보건과 통신 물가는 각각 전년보다 0.1%, 0.9% 내렸다. 주류 및 담배(0.4%), 의류 및 신발(0.6%), 오락 및 문화(0.4%), 교육(0.9%)도 0%대의 상승률이었다. 코로나19 확산과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회식·여가활동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각종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각종 지원금과 추가경정예산안 등 재정 지출이 이어지면서 당분간은 물가 상승세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내수 회복 외에도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 에너지 가격 상승 등 대외적인 요인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