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만병의 근원 ‘수면’ 부족하거나 과해도 문제…치주염·갑상선질환 유발에 암까지

만병의 근원 ‘수면’ 부족하거나 과해도 문제…치주염·갑상선질환 유발에 암까지

기사승인 2022. 02. 17. 12:0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수면부족 시 심혈관 질환·우울증·만성통증·비만·대사증후군 위험 높여
침실 어두운 조명 사용 … 스마트폰 사용·취침 전 카페인 음료 피해야
‘잠이 보약’이라는 말처럼, 수면의 질은 건강한 삶의 중요한 요소다. 많이 자도 탈이고, 적게 자도 문제다. 언제 잠드는지, 어떤 환경에서 자는지도 중요하다. 수면의 질에 문제가 생기면 다음날 피로, 집중력 저하, 업무효율 저하 등을 경험한다. 문제가 더 축적되면 면역력·인지력 저하나 비만, 치주염, 갑상선질환 등 생각치 못한 질환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폐쇄성수면무호흡증(수면무호흡증)은 환자는 정상인보다 갑상샘암 발생 위험이 1.64배 더 높다. 최지호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수면의학센터장)와 조재훈 건국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정상인(99만2870명)과 수면무호흡증 환자(19만8574명)의 갑상샘암 발생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사진
불면증을 겪으면 피로와 무기력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자료=자생한방병원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정상인보다 갑상샘암 발생 위험이 1.64배 더 증가했다.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년층에서 갑상샘암 발생 위험이 1.68배, 20세 이상 40세 미만 젊은 층에서는 1.53배 더 높았다. 남성 1.93배, 여성 1.39배로, 남성 환자의 갑상샘암 발생 위험이 더 컸다.

최 교수는 “많은 연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은 갑상샘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며 “코를 자주 골거나, 수면 중 숨을 멈추거나, 수면시간이 짧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낮에 졸리고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는 병원을 찾아 진료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수면시간의 길고 짧음도 갑상선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남진영 을지대 의료경영학과 교수팀이 지난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1만7555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갑상선 질환 발생 위험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불충분한 수면 그룹의 갑상선 질환 발생 위험은 걱정 수면 그룹의 1.9배였다. 수면 과다 그룹은 적정 수면 그룹보다 갑상선 질환 발생 위험이 1.7배 높았다.

교수팀은 연구 대상을 하루 수면시간에 따라 ‘불충분한 수면 그룹(7시간 미만)’·‘적정 수면 그룹(7∼8시간)’·‘수면 과다 그룹(9시간 이상)’ 등으로 나눴다. 여성의 갑상선 질환 발생 위험은 남성의 4.5배였다. 여성의 수면시간은 갑상선 질환 발생 위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면시간과 갑상선 질환의 관계에서 성별 차이가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수면의 질 저하에 따르면 수면부족은 심혈관 질환·우울증·만성 통증·대사증후군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지나치게 짧은 수면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저하증의 유병률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적절한 수면은 갑상선 질환의 예방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basic_2022
잠을 많이 잘수록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펜실베니어 주립대 연구팀은 ‘잠이 부족하면 식욕 호르몬은 늘고 식욕억제 호르몬은 준다는 사실’을 연구로 확인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김양현 교수팀은 ‘한국인 주말·주중 수면불일치와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연구에서 “은퇴한 60세 이상 노인남성은 비만이 나타날 확률이 2.89배 더 높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수면의 질 저하 원인은 특정하기 어렵다. 일과 중 낮잠을 잤거나 너무 이른 시간에 잠자리에 들어도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이른 새벽에 깨어날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 등이 있다면 밤새 화장실에 들락거리다 숙면을 망치기 쉽다. 잠들기 전 스마트폰·태블릿PC 등을 사용하는 것도 문제다.

베개 높이나 침실의 조명 밝기도 숙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침실에는 멜라토닌의 수면 유도 효과를 방해할 수 있는 청색광 대신 적색광이면서 어두운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취침 전 커피나 홍차 등 카페인 음료를 마시면 체내 각성 효과 탓에 잠들기도 힘들고 잠들었다해도 깊은 수면이 곤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늦은 야식도 위 활동을 자극해 숙면을 어렵게 한다. 식사는 가급적 일찍 하고, 가벼운 운동 후 미온수로 샤워를 하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