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동해안 산불’ 발생 한달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재민들

‘동해안 산불’ 발생 한달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이재민들

기사승인 2022. 04. 03. 18:4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서 불편한 생활…주택 재건축 비용 '막막'
한달 지나도 산불 원인 '불투명'…산림 복구는 시작도 못해
강원도, 산불발생 가능성 가장 큰 청명·한식일 대비 대책 마련
동해안 산불 한 달…돋아나는 희망
경북 울진과 강원 강릉·동해·삼척 등에 기록적인 피해를 남긴 동해안 산불 발생 한 달이 지난 3일 오전 강원 동해시 산불 피해 지역에서 새싹이 움트고 있다. /연합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과 동해에서 역대 최장기간 타오른 산불이 발생한지 1달이 지났다. 지난달 4일부터 213시간43분간 이어진 불로 산림 2만523㏊가 불에 타고, 수많은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 지역들은 특별 재난지역으로 선포돼 기부와 복구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주민들의 고통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3일 강원도에 따르면 산불로 동해·강릉·삼척 등 3개 지역에서 이재민 79세대·119명이 발생해, 이들 중 41세대 62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울진에서 산불로 피해를 본 주민은 219가구, 335명이다.

이들은 마을회관, 숙박시설, 임시주거시설 등에서 불편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각 지자체들은 마을별로 임시주거시설을 마련해 이재민이 입주할 수 있도록 했다. 울진에는 지금까지 임시조립주택 49개동을 설치됐으며 나머지는 앞으로 1∼2주 안에 설치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강원도는 산불로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에게 조립식 주택 27채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LH 임대주택 23채를 제공하기로 했다.

임시방편은 이뤄졌지만 주택 재건축 등 피해복구는 캄캄하기만 하다. 동해안 산불에 따른 울진지역 피해 규모는 지난 3월 30일 기준 1717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따른 복구액은 29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강원 피해는 502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주택 건축 법정 지원금은 모두 불에 탔을 경우 1600만 원, 반이 소실됐을 때 800만 원으로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경북도와 울진군은 불에 탄 집터에 새로 집을 지으려면 평당 건축비가 600만 원 정도로 20평 기준으로 약 1억2000만 원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경북도는 성금을 주택 건축에 우선 배분하고 국비를 더 지원하는 방안을 중앙부처에 건의하고 있다. 강원도 관계자는 “아직 머물 곳을 결정하지 못한 이재민들이 안전한 곳에 편하게 지낼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산불 피해에 따른 산림 응급 복구는 아직 시작도 못한 상황이다. 피해 조사를 통한 복구계획과 비용이 확정돼야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는 이달 초 복구계획이 확정되면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올해 6월 우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응급복구를 완료할 방침이다.

응급복구를 하면서 5월에 항구복구사업 계획을 수립해 산불 피해지 정밀 산림조사를 하고, 내년에야 산림생태계 회복 목적의 복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산불 원인 수사는 한달이 지났음에도 제자리 걸음이다. 산림당국은 산불이 시작된 지난달 4일 오후에 울진군 북면 두천리 최초 발화 추정 지점에서 감식을 했으며 진화가 마무리된 지난달 16일에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경찰, 산불방지기술협회 등과 합동으로 감식을 벌였다.

이에 따라 담뱃불 등에 의한 실화를 유력한 원인으로 보고 불을 낸 사람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수사결과를 내진 못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발생한 산불 496건 중 가해자 231명을 붙잡아 검거율 46.6%를 기록한 이후 2019년 36.6%, 2020년 39.7%, 2021년 37.8% 등 최근 3년간 가해자 검거율이 30%대에 그쳤다.

한편 성묘객 및 상춘객 증가로 연중 산불 발생위험이 가장 높은 청명·한식일이 다가오면서 지자체가 ‘동해안 산불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는 지난 2일부터 오는 6일까지를 산불방지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해 대책본부와 상황실이 24시간 운영하고 산불 취약지에 감시인력 7000여 명을 비상근무에 배치했다.

또 산불진화 헬기 11대를 동해안에 사전 배치해 대응 태세를 강화할 방침이다. 강원도는 지난 2~3일 이틀간 도내 산불취약지 220개 지역에 도청 공무원 880명을 투입해 산불 예방활동을 진행했다.

채병문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소장은 “매년 청명·한식일에는 고온·건조한 날씨의 영향으로 대형산불이 많이 발생했다”며 “선제적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통해 산불 발생과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