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공기업 체크人] 디지털 뉴딜 이끄는 이원태號 KISA, ICT 원스톱 기관으로 ‘비상’

[공기업 체크人] 디지털 뉴딜 이끄는 이원태號 KISA, ICT 원스톱 기관으로 ‘비상’

기사승인 2022. 04. 19.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KISA 나주 본원 전경. [KISA 제공]
KISA 나주 본원 전경. [KISA 제공]
이원태 원장이 ‘디지털 뉴딜’을 이끄는 보안전문 정책기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지휘봉을 잡은 지 1년이 지났다. 이 원장은 올해 KISA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뿐 아니라 범부처를 아우르는 디지털 전략 지원기관으로 재도약시켜 정보통신기술(ICT) 원스톱 서비스 기관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이 원장은 지난해 1월 취임 후 KISA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정책 개발 프레임워크를 신설하는 등 KISA의 역할 강화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데 집중했다.

특히 KISA가 디지털 대전환 시기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정보보호·디지털 전문기관이기 때문에 디지털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책기능’ 강화에 나섰다. KISA는 국정 과제인 ‘디지털 뉴딜’에서 블록체인과 전자문서, 디지털 인재 육성 등 역점적인 사업을 도맡고 있다.

우선 이 원장은 정책기능 강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지난해 5월 기존 △미래전략팀 △법제연구팀 등 2개 팀이었던 미래정책연구실을 △정책대응팀 △정책분석팀 등 2개 팀을 추가해 총 4개 팀으로 확대했다. 정책개발 프레임워크도 만들었다. 정책개발 프레임워크는 정책 이슈 조사·분석부터 △연구·개발 △협력·대응 △홍보·환류까지 전주기를 아우르는 정책지원 정책을 말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뉴딜 관련 동향과 국내외 ICT 정책 기술·법제 동향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중장기적 관점의 정보보호 전략을 수립한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정책연구 설명회를 통해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에 나선다.

이 원장 취임 후 예산도 대폭 늘어났다. 지난해 2574억원이던 예산은 올해 2904억원으로 12.8% 증가했다. KISA는 △블록체인 시범사업 △전자문서 활성화 사업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등을 추진했다. 그 중 전자문서 활성화를 위해 △전자화 작업장 △공인전자문서중계자 △공인전자문서센터 등 3개 분야에서 제도를 규제·개선에 나섰다.

현재 KISA는 정보주체 권리강화를 위한 개인정보 이동권 도입과 마이데이터 산업 표준화 작업을 하고 있다. 또 데이터3법 개정에 따라 법적 근거가 마련된 가명정보 활성화 대책도 마련 중이다. KISA는 가명정보의 안전한 결합을 위해 결합키연계정보를 생성해 결합전문기관에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결합키관리기관이다.

코로나19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사이버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2020년 사이버범죄 발생건수는 전년 대비 29.7% 증가한 23만4098건으로, 최근 N번방 사건·이루다 사태 등처럼 고도화된 사이버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KISA는 지난해 8월 랜섬웨어 대응 강화 방안을, 지난해 10월에는 과기정통부·금융위 등과 함께 은행사칭 등 불법스팸 유통방지 대책을 수립했다. 같은 해 11월 사이버위협 고품질 정보공유·공동 대응협력을 위해 ‘K-사이버보안 대연합’을 출범시키면서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수치적인 성과도 있었다. 이용자 PC보안수준은 2020년 83.2점에서 지난해 99.1점으로 크게 높아졌다. 또 KISA 보안 테스트베드(IoT·융합리빙랩 등)를 이용하는 수도 2941명으로 늘었다.

올해 KISA는 정책기능 강화를 기반으로 ICT 원스톱 서비스 기관이 되겠다는 전략이다. 단순 사업진행 기관을 벗어나 대체 불가능한 디지털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전문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KISA는 보호와 진흥이라는 상충하는 사업 영역으로 성과목표를 구성했지만, 올해부터는 공급자적 관점에서 벗어나 국민·기업 등 수요자 관점으로 경영목표를 재설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사회적 가치 구현을 별도의 성과목표로 구성하면서 기관경영 전반의 혁신을 추진한다.

KISA는 △사각지대 없는 정보보호안전망 구축 △정보보호·디지털 국가 경쟁력 제고 △국민과 상생하는 사회적가치 구현 △경영체질 개선을 통한 혁신경영 등을 주요 4대 전략목표로 수립하고, 2026년까지 사이버보안수준 세계 3위, 정보보호산업 시장규모 20조원 달성을 하겠다는 목표다. 또 지난해보다 61% 증가한 2744명의 민간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원장은 2007년부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10여 년 간 정보보호·인공지능(AI)·인터넷 윤리 등 ICT 관련 정책 연구를 추진해온 전문가로, 취임 당시 디지털 뉴딜을 제대로 이끌 적임자로 꼽혔다. 그는 정책기능 강화에만 국한하지 않고 직원 복지를 높이는 데도 집중했다. 지난 2017년 서울에서 전남 나주로 본원을 옮긴 KISA 직원들을 위해 심리 상담 등을 지원하는 한편, 직원들과 허울 없이 식사를 즐기는 등 내부 소통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 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원격교육·의료·근로, 자율주행차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디지털 안전망을 구축하고, 21세기 원유라 불리는 데이터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도록 신 개인정보보호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할 것”이라며 “KISA를 정보보호·디지털 분야에서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이원태 KISA 원장
이원태 KISA 원장. [KISA 제공]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