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한미일, 한일 협력 중요성 이해"
위안부 합의·강제징용 문제, 강경 입장 고수 "한국, 합의 복원해야"
|
아베 전 총리는 일본 도쿄(東京) 의원실에서 ‘한국에 새 정부가 들어서며 양국 관계 개선의 기회가 생겼냐’는 질문에 “기회가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고 영국 이코노미스트지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베 전 총리는 “안보 측면에서 윤 대통령이 한·미·일 3국뿐 아니라 한·일 협력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 같다”며 “얼마 전 한국 정책협의단을 만났고, 그 자리에서 들은 얘기들을 토대로 하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아베 전 총리는 위안부 합의와 강제징용 문제 해결에 관해 기존 강경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위안부 합의와 강제징용 문제에 관해서는 한국이 철저히 양국이 체결한 협정·협약에 기반해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제한 뒤 “위안부 합의는 박근혜 전 대통령 때 최종적이고 돌이킬 수 없다는 조건으로 합의를 했는데 이후 문재인 전 대통령이 뒤집었다”며 “한국이 합의를 복원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아베 전 총리가 일본의 미국 핵무기 보유 가능성, 대만의 잠재적 위기 때 일본의 역할 등 한때 금기시됐던 주제를 언급하면서 더 단호한 안보 정책 필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여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핵 공유(nuclear sharing) 정책 제안과 관련, “일본과 미국이 전술핵무기 사용시를 포함해서 핵 보복 시기와 방법을 논의하길 바란다”며 “의사결정 과정에 일본이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북한에서 미국이 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일본을 공격할 위험은 더 커질 것”이라며 “그렇게 되지 않도록 일본과 미국이 철저히 논의하고 미국이 일본을 대신해 보복할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그는 “국내총생산(GDP)의 2%에 해당하는 국방비를 확보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인터뷰와 함께 ‘아베 신조가 여전히 일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별도의 기사에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히로시마(廣島) 출신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를 만났을 때 식사 메뉴는 히로시마산 소고기·채소·레몬 소다 등이었지만 의제는 아베 전 총리 것이 많았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주창해 23일 발족한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가 미국이 아베 전 총리 주도로 결성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탈퇴한 후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경제 협의체이고,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전략을 아베 전 총리가 규정한 개념이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