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 관계자는 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성탄절에 특별사면을 할지 안할지, 아니면 연말에 할지 안할지 시기나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성탄절 특사 실무검토에 들어갔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서도 "정해진 바 없다. 실무자들은 실무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라며 "내부적으로 구체적인 방안을 갖고 시기나 대상에 대해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실무진 차원에서 여러 옵션들이 검토되고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다만 윤 대통령은 지난 8월15일 광복절 당시 사면을 단행한 바 있어 한 해에 두 번이나 사면권을 행사하는 것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가장 관심이 쏠리는 사면 대상은 이 전 대통령이다. 옛 친이(친이명박)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이 전 대통령의 사면론이 꾸준히 제기됐고, 윤 대통령도 지난 6월초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에서 "과거 전례에 비추어 이십몇 년을 수감 생활하게 하는 건 안 맞지 않느냐"며 이 전 대통령 사면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바 있다. 이 전 대통령은 현재 건강상의 이유로 형집행정지를 받아 일시 석방 중이다.
아울러 야권에선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사면 여부에 이목이 집중된다.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지난해 7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형이 확정된 김 전 지사는 내년 5월 만기 출소 예정이다.
출소 시기가 임박한 만큼 김 전 지사의 경우 사면 보다는 복권 여부에 이목이 집중된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 전 지사가 복권된다면, 야권 내 친문·비명(비이재명)계 진영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