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고]지속가능한 축산업 축산환경교육 활성화가 답이다

[기고]지속가능한 축산업 축산환경교육 활성화가 답이다

기사승인 2023. 01. 04.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KakaoTalk_20221230_142031058
축산환경관리원 산업기반부 한갑원 부장(경제학 박사)
1956년 우리나라 인구는 2150만 명에서 2020년 5180만 명으로 2.4배 증가했다. 국민소득 역시 66달러에서 3만1755달러로 481.14배나 늘었다.

인구 증가와 국민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의 식생활도 육식 위주로 변했다. 1956년 국민 1인당 연간 6.1kg 소비에서 2020년 53.9kg으로 8.8배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런 식생활 변화에 따라 국내 가축 사육두수 또한 크게 변화했다. 소의 경우 1956년 870만 마리에서 2020년 3360만 말리로 3.86배, 돼지의 경우 1260만 마리에서 1억1070만 마리로 8.79배, 닭은 8920만 마리에서 16억7410만 마리로 18.77배 증가했다.

이렇게 국민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자 식량안보에 중요한 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축산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의 개선을 위해서는 가축분뇨 처리 방법의 다양화 연구개발, 지역별 맞춤형 개선 계획 수립 및 시행, 이론 및 실습 교육 등이 있을 것이다.

정부도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 정책을 마련·시행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환경개선 및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축산분야 온실가스 30% 감축 정책을 마련했다.

축산농가의 가축분뇨 위탁처리시설에서의 정화처리 확대, 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차, 바이오플라스틱 등 산업용 소재 활성화, 고체연료 생산을 통한 퇴비의 비농업계 이용 확대, 가축분뇨 처리 중심에서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 처리를 마을 발전과 연계하여 민간기업 중심에서 공공기관·지자체·지역주민의 공공형 중심으로 에너지화 확대, 축산환경 실태조사에 따라 객관적인 지역별 맞춤형 축산환경개선계획 수립·실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 제도 마련·실행을 하고 있다.

정부의 다양한 정책 중 시급하게 시행해야 것은 교육이다. 아무리 좋은 시설과 정책이 있어도 현장에서 직접 운영, 관리, 지도, 컨설팅 등을 할 인력이 없다면 무용지물일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을 통한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축산환경개선을 위해서는 가축의 종류별, 지역별, 처리방식별 다양한 전문지식이 요구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축산환경관리원에서 축산환경교육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교육이 운영되고 있지만 축종별 맞춤형 지속적인 현장 교육을 위해서는 권역별로 교육훈련기관을 지정·운영해야 한다.

둘째, 전문 컨설팅 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 실습 교육시설을 확대해야 한다. 이론과 실습 교육을 한 장소에서 실시해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일들을 교육할 수 있도록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갖춘 교육시설 설립이 필요하다.

셋째, 축산환경 연구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특수대학원 설립이 필요하다. 매년 가축사육 두수가 늘어남에 따라 악취와 같은 축산환경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처리방법, 살포방법 등에 대한 전문적 연구인력 확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가축 사육두수와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에서 가축분뇨처리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이 없다면 축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할 것이다.

따라서 가축의 종류별, 처리방식별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축산환경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고, 이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커리큘럼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기가 빨리 도래하길 기대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