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원전 수출 나서는 ‘팀 코리아’…사용후핵연료·생태계 복원은 숙제

원전 수출 나서는 ‘팀 코리아’…사용후핵연료·생태계 복원은 숙제

기사승인 2023. 02. 14.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집트·폴란드·체코·터키·영국 등 원전 수출 가시화
국내 원전…계속운전·신규원전 건설 등 탈원전 폐기
가동 원전 증가로 사용후핵연료 포화시점 빨라져
업계 "특별법 통과 및 원전 생태계 복원 시급"
basic_2021
정부가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소(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세우는 등 '탈원전 폐기, 원전 최강국 건설'을 공언하면서 원전산업이 부활의 기지개를 펴고 있다. 정부는 한수원과 한전 등을 필두로 원전 10기 수출에 드라이브를 거는 반면, 국내 원전 수명 연장·원전 추가 건설 등 대내외적으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사용후핵연료 포화시점이 앞당겨지면서 해결해야 할 난제들도 쌓이고 있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지난해 8월 한수원이 3조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의 기자재 공급과 건물·구조물 건설사업을 수주하면서 우리나라 원전 수출에 물꼬가 트였다. 이집트 엘다바 원전사업은 1200㎿급 러시아형 가압수형원자로(VVER)-1200 원전 4기를 건설하는 총 300억 달러(약 38조원) 규모 사업이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 이후 발생한 조 단위 원전건설 수주다.

동시에 원전의 핵심인 '원자로' 수주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지난해 10월 한수원은 산업부·폴란드 국유재산부 등과 함께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에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원전 개발계획 수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의 협력의향서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엘다바 사업과 달리 해당 사업은 원전의 설계부터 건설까지 모든 과정을 한수원이 책임지는 것으로, 수주 시 최소 300억 달러 이상의 수주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폴란드 외에 체코·영국 등 다른 국가들에 대한 원전 수출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수원은 체코전력공사(CEZ)를 방문해 신규원전사업 입찰서를 최종 제출하기도 했다. 해당 사업은 체코 두코바니 지역에 1200㎿ 이하급 가압경수로 원전 1기를 건설하는 내용이 주 골자다. 체코 정부는 2024년까지 우선협상자 및 최종 사업자 선정, 설계 및 인허가 취득 과정을 거쳐 2029년 건설 착수, 2036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최대 3기의 추가 신규원전 건설도 검토하고 있다.

한전도 올해 튀르키예·영국 등을 차례로 방문하면서 원전 수출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노리고 있다. 우선 정승일 사장은 지난달 30일 튀르키예를 방문해 파티흐 된메즈 에너지천연자원부 장관을 만나 튀르키예 원전사업 참여방안을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 사장은 튀르키예 원전사업 예비제안서를 전달하고 사업추진을 위한 절차와 사업 리스크 등 주요 사안을 논의했다. 또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일까지는 영국을 방문해 사업추진 방안을 협의하기도 했다.

이처럼 정부의 원전 10기 수출 기조에 발 맞춰 한수원·한전 등이 해외 원전 수출에 사활을 거는 한편, 국내 원전 생태계에도 순풍이 불고 있다.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마련하고 국내 원전 12기(고리 2~4호기·한빛 1~4호기·한울 1~2호기·월성 2~4호기) 계속 운전·신규 원전 건설(신한울 3·4호기)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가동원전은 총 32기가 된다. 동시에 신한울 3·4호기 등 원전 일감에 전년보다 1조1000억원 증가한 3조5000억원 규모를 공급하고, 2028년까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원전 가동이 늘어나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의 포화시점도 앞당겨질 수밖에 없다. 특히 저장시설이 가장 빨리 차는 곳은 한빛 원전으로, 2031년에서 2030년으로 1년 당겨졌다. 한울 원전 포화 시점은 2032년에서 2031년으로, 신월성 원전 포화 시점은 2044년에서 2042년으로 각각 1년과 2년 빨라졌다. 새울 원전은 예전과 같은 2066년 포화가 예상된다. 이대로라면 7~9년 뒤엔 원전 18기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국회에 계류 중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특별법을 조속히 통과시키고, 안전한 영구보관시설 확보를 위한 사회적 대타협을 속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또한 그간 탈원전 정책으로 무너진 원전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추가 일감을 공급하고, 원전 산업을 지탱하는 중소기업을 살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탈원전 정책이 폐기되고, 원전에 대한 정책 기조가 180도 바뀌면서 사용후핵연료 포화시점이 앞당겨졌다. 원전 내 건식저장시설 건설에 따른 지역 주민의 영구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특별법 제정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또한 원전관련기업과 동반성장(상생)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지원, 국내외판로개척, 경영·인력지원 등 다양한 지원사업이 추진되도록 해야 한다. 원전사업을 지탱하는 중소기업을 살리는 길이 건강한 원전 생태계조성에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