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교류협력 축소가 남북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지 않냐는 기자의 질문에 "통일정책 추진 환경 등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구 대변인은 이어 "남북 교류협력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마련된다면 조직을 융통성 있게 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인도협력국을 인권인도실로 격상하고 교류협력실을 교류협력국으로 축소하는 한편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는 폐지하는 대신 그 기능은 남북회담본부로 넘기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추진 중이다.
한편 구 대변인은 지난 23일 권영세 통일부 장관 방일을 통해 납북자, 억류자, 이산가족 문제를 정기적으로 논의할 한일 간 협력 채널 구축을 제안한 부분에 대해선 "인도적 차원에서 해결이 시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권 장관은 당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 오후엔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 등을 만나 통일 대북 정책과 관련해 논의한 바 있다. 당시 권 장관은 하야시 외무상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북한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북한 도발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양국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계속적인 협의 채널을 이어가자"고 제안했다.
이어진 마쓰노 관방장관과의 면담에선 "한일 공통 문제인 납북자, 이산가족 등 인권 문제의 시급한 해결 필요성 및 공조의지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통일부와 일본 내각관방 간 협의체를 구성해 협의해 나가자"고 부연했다.
양측은 이에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 협력이 필요한 데 대해 인식을 같이한다"며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협력 폭이이 커진 만큼 한일 간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잔 입장을 재확인한다"고 화답했다는 게 통일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