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가치 부양과 책임경영 의지 표명
|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조주완 사장은 결제일 기준으로 전일인 29일 보통주 2000주를 장내 매수했다. 주당 매입 단가는 11만3600원으로, 매입 규모는 2억 2720만 원이다.
조 사장이 보유한 자사주는 기존 보유분 2373주를 더해 4373주로 늘어났다. 조 사장은 호주법인장으로 재직하던 2011년 우리사주로 자사주 372주를 취득한 이후 북미지역대표 시절이던 2017년과 2018년 550주와 590주를 각각 추가 매입했다. 2019년에도 추가로 861주를 장내 매수한 바 있다.
통상 최고경영자의 자사주 매입은 기업 및 주주가치 부양과 책임경영에 대한 강한 의지로 받아들여진다. 이번 매입은 주가가 연초 대비 30% 이상 올라가 있는 상승 국면에서 이뤄진 것이라 의미가 더욱 크다. 1월 2일 종가 기준 8만6400원이던 LG전자 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 최근 11만 원 대를 유지중이다. 수익률은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의 3배를 넘어선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전자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직전 분기 실적발표 시 전망치 대비 15.2% 상향 조정된 1조 683억 원으로 집계됐다. 그간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쳤던 물류비와 원자재비 등 부담이 해소되고 있다는 평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조 사장은 취임 이후 LG전자의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미래 지향적 사업구조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생활가전은 수요 감소 속에서도 새로운 고객경험을 업그레이드하는 UP가전을 앞세워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는 UP가전을 글로벌로 본격 확대한다. TV 사업 또한 콘텐츠·서비스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웹 OS 플랫폼 사업 매출은 사업 초기이던 2018년 대비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장 사업은 이제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올라섰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이달 초 베트남 하노이에 전장 R&D법인을 신설했으며, 멕시코에는 연내 완공을 목표로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생산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한편 조 사장은 올초부터 글로벌 사업장을 방문하며 현장의 체질적 개선을 주문하는 등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북미, 유럽 지역에 이어 이달에는 브라질, 멕시코 등 중남미지역 법인을 방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