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끝내 현실로 나타난 中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515010008158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3. 05. 15. 17:06

대도시 인구 감소 현저, 국가경쟁력에 악영향 불가피
clip20230515165233
중국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가 마침내 현실로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언론의 만평이 괜한 호들갑은 아니라고 해야 할 것 같다./제공=징지르바오.
중국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가 드디어 현실로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국가경쟁력 역시 서서히 약화될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불어 2035년까지 미국을 제치고 G1으로 부상하겠다는 프로젝트도 상당히 심각한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말 그런지는 역시 통계가 잘 말해주지 않나 보인다. 우선 인구 감소를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언론의 최근 보도를 종합할 경우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들의 상황을 대표적으로 봐도 분명해진다. 인구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대도시임에도 최근 서서히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인도에게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자리를 빼앗길 것이라는 전망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세부적으로 보면 진짜 상황이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수도 베이징의 경우 4만3000명이나 줄어들었다. 상하이는 더욱 충격적이라고 해도 좋다. 무려 13만5400명이 증발해버렸다.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의 경우는 베이징과 상하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7만6500명이 줄었다.

그나마 광둥성 선전시는 조금 낫다. 줄어든 인구가 1만9800명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선전이 젊은 인구가 지난 40여년 동안 끊임 없이 유입됐던 경제특구라는 사실을 상기하면 상황은 상당히 충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선전의 언론인인 첸한장(錢漢江) 씨는 "나는 선전이 개발된 이후 40여년 동안 언론 현장을 지켰지만 인구가 줄어들었다는 통계는 처음 접한다. 기가 막힌다"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전국의 상당수 대도시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인구가 늘기보다는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고 해야 한다. 앞으로는 이 상황에 직면할 도시들도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와중에 급속도로 진행되는 노령화 현상 역시 간단치 않다. 노인 인구의 급속 증가가 이제는 거스르기 어려운 대세가 되고 있다고 해도 좋다. 올해의 경우 65세 이상의 인구가 2억64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8.7%로 20% 돌파가 조만간 현실이 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중국 당국이 최근 국가 경쟁력의 하락 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심하는 것은 진짜 다 까닭이 있다고 해야 한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