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우원식 캠프 수사 확대 가능성…檢 "답하기 어려워"
전날 송영길 '셀프출석' 시도엔 "법적·정치적 책임 회피 의도"
|
8일 아시아투데이가 입수한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의 정당법 위반 등에 대한 공소장에 따르면, 무소속 윤관석 의원은 2021년 4월 26일 오후 4시경 국회 본관 외교통일위원장실에서 기획회의를 주재해 "경쟁 후보 캠프에서 의원들에게 300만원씩 뿌리고 있으니 우리도 그 정도 주자"고 제안해 현금 살포 계획이 확정됐다.
당시 송 전 대표의 전국대의원 지지율은 계속 하락세인 반면, 경쟁 후보인 홍영표·우원식 의원은 상승세를 보여 세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자 '국회의원들의 지지도 결집 필요성'을 느꼈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이에 강 전 위원은 4월 중순 이른바 '스폰서'로 지목된 사업가 김모씨에게 자금 지원을 요청했고, 김씨가 같은 달 말 전 대표 보좌관 출신인 박모씨에게 5000만원을 줬다.
이후 박씨가 그 무렵 보관 중이던 현금 6000만원을 300만원씩 쪼개 봉투 20개를 만들었고, 윤 의원이 4월 28∼29일 이틀간 국회 본관 외통위 소회의실과 의원회관에서 전달했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공소사실의 경우 수사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재하는 만큼 수사 범위가 경쟁캠프 금품 살포 부분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검찰은 당장 수사가 확대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는 송 전 대표 캠프 당 대표 경선 과정의 금품 살포 수사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강래구 공소장에 기재된 부분에 대해) 수사하고 있다, 아니다 답변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공소장은 범행 동기나 증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수사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적시하는 것"이라며 범행 동기 부분에 대해 "객관적 인적·물적 증거를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했다"며 여지를 남겼다.
검찰은 전날 송 전 대표의 자진 출석 시도에 대해선 "법적,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라고 일축했다. 돈봉투 수수자에 대한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이고, 윤관석·이성만 두 의원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 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먼저 조사받겠다는 것은 수사 방해로밖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사법 절차는 모두에게 공정하게 진행돼야 한다. 송 전 대표 조사의 경우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절차에 따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