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한은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인 '최근 환율의 변동성과 변화율의 국제 비교·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원화 환율 변동성의 장기평균은 0.5%포인트로, 주요 34개국 평균치(0.62%포인트)와 중간값(0.58%포인트)보다 낮았다.
그러나 지난해 8월 이후 올해 초까지 미 달러화가 강세와 약세를 오가는 과정에서 원화의 환율 변화율은 여타 통화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지난 2월에는 원화 환율 절하율이 7.4%를 기록해, 여타 통화 평균(3.0%)의 2배 수준이 넘으면서 34개국 중 절하율이 가장 높았다.
한은은 무역수지는 환율에 1개월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데 지난 2월에는 무역수지 충격이 원/달러 환율 상승 폭의 40% 정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올해 1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125억3000만달러 적자로 적자 폭이 사상 최대 수준이었다.
한은은 모형에 포함되지 않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기조 강화 예상도 원화 절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원화 환율 변동성은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왔다"며 "우리나라가 동아시아 국가에 비해 금융개방도, 환율제도의 유연성이 높고 선진국보다는 금융개방도가 낮은 데 기인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