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전 세계에서 챗GPT를 가장 많이 쓰는 나라 중 한 곳일뿐만 아니라 챗GPT가 발전할 수 있는 기술 기반 가진 나라다."(샘 올트먼 오픈AI 대표)
윤석열 대통령이 9일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대표를 접견해 나눈 대화다.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의 서면브리핑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올트먼 대표와 AI 발전 방향과 위험 가능성, 오픈 AI-한국 스타트업 간 협력, 국제 규범 등에 대해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다.
올트먼 대표는 "한국 AI 스타트업들은 국제 무대에서 활약할 경쟁력을 완벽히 갖췄다"며 "한국은 반도체 제조 역량 등 AI가 발전할 수 있는 자산을 이미 많이 갖고 있고 한국 스타트업들도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고 조력할 부분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한국은 어떤 분야에 집중하면 좋겠느냐"고 묻자 올트먼 대표는 "반도체 분야"라고 답하기도 했다. 오픈AI의 챗GPT는 방대한 서버를 기반으로 서비스가 이뤄지는 만큼 메모리 반도체 강국인 한국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메모리 반도체 없이는 AI 기술은 실현이 어렵다.
|
그는 '한국 기업 및 한국인에게 남기고 싶은 메시지가 있냐'는 윤 대통령 질문에도 "AI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반도체 생산 능력을 늘릴 것, 기업 활동 규제를 없애 AI 생태계를 구축할 것, 국제 규범을 만들어가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제안한다"며 반도체 문제를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면담에서 "기술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챗GPT와 관련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 규범도 속도감 있게 마련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올트먼 대표는 이에 공감하며 "한국이 선도적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과 올트먼 대표 일행은 이날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윤 대통령에게 선물한 명패 앞에서 기념사진도 촬영했다.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남긴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The Buck Stops Here)는 문구가 새겨진 명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