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이날 오전 10시께 박 전 원장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업무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오후 5시55분께까지 조사했다.
박 전 원장은 이날 오전 경찰에 출석하며 '측근 2명 채용을 직접 지시했느냐', '혐의를 인정하느냐' 등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
조사를 마치고 나온 이후에도 '적합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채용한 게 맞는지', '경찰에 무슨 진술을 했는지' 등 취재진 질문에 답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
앞서 박 전 원장은 측근인 강모 씨와 박모 씨를 2020년 8월 국정원 유관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전략연)의 연구위원으로 추천·서류심사·면접 등 절차를 거치지 않고 채용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이 임명된 수석연구위원 및 책임연구위원 자리는 박사 학위와 연구 경력을 요구하고 있는데, 경찰은 이들이 채용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10일 국정원장 시절 전략연에 측근을 부당 채용한 의혹과 관련해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불러 조사했다.
전략연은 종합 외교안보 분야를 연구하고 분석해 전략·정책을 개발하는 국정원 유관기관이다. 국정원장은 전략원에 예산을 지원하고 감독할 권한이 있다.
국정원은 문재인 정부 시기 인사업무를 자체 감사한 결과 박 전 원장과 서 전 실장의 측근 채용비리 정황을 파악하고, 올해 초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후 경찰은 지난 5월 박 전 원장과 서 전 실장 자택에 수사관을 보내 휴대전화 등을 압수했다.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국가정보원 내 비서실장실과 기획조정실을 압수수색해 인사·채용 관련 서류를 확보하기도 했다.
박 전 원장은 채용비리와 별개로 2021년 6월 국정원 원훈석 교체 과정에서 부당하게 압력을 행사한 혐의로도 경찰 수사를 받고 있으나 이날 조사는 채용비리 의혹에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박 전 원장은 원훈석의 문구를 '신영복체'로 새겼는데, 일각에선 1968년 북한 연계 지하당 조직인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돼 20년간 복역한 국가보안법 사범인 고(故) 신영복 전 성공회대 교수의 손글씨를 본뜬 서체로 쓴 것은 사실상 국정원이 '친북기관'이 아니냐는 우려를 불러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