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맞춤형 반도체’ 개발 박차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맞춤형 반도체’ 개발 박차

기사승인 2023. 08. 04.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텐스토렌트에 5000만달러 투자…자율주행·미래 모빌리티 반도체 확보
보스반도체에 20억원 후속 투자…차량용 반도체 개발
정의선 회장, 차량용 반도체 기술 내재화 강조
Corporate Event photography by Roger Kenny Dublin Ireland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왼쪽에서 세번째)이 인텔 아일랜드 캠퍼스를 찾아 반도체 생산 시설을 시찰했다 / 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고성능 반도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 체제 전환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연산해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반도체 칩은 필수적이다. 차량뿐 아니라 로보틱스·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미래 모빌리티 전반에서 맞춤형 반도체는 중요하다.

특히 자율주행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려면 마치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는 신경망처리장치(NPU) 기반 인공지능(AI) 반도체가 필수적이다. 도로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상황을 자동차가 스스로 해석하고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입력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는 별개의 반도체 기술이 필요하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들어 반도체개발실을 신설하고 외부 업체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한 반도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3일 현대차그룹은 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에 5000만달러(약 642억원)를 투자했다고 밝혔다. 텐스토렌트가 최근 모집한 투자금 1억 달러 가운데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3000만달러(약 385억원)·2000만 달러(약 257억원)를 제공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최적화한 반도체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반도체 설계전문(팹리스) 스타트업으로 출발한 텐스토렌트는 2016년 설립 이후 자체 개발한 AI 관련 지적재산권(IP)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를 둔 텐스토렌트는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전설적 인물로 알려진 짐 켈러가 최고경영자(CEO)로 있다. 그는 애플 아이폰의 A칩, AMD의 PC용 CPU 라이젠 등 고성능 반도체 설계를 주도했다. 테슬라의 자율주행 반도체 설계 작업도 이끈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6월에는 차량용 반도체 개발 스타트업 보스반도체에 20억원을 후속 투자했다. 보스반도체는 고객사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개발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현대차·기아는 보스반도체와 전략적 협업을 통해 전기차·자율주행차 맞춤형 차량용 반도체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고성능 반도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 회장은 연초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신년회에서 "현재 자동차에 200~300개가량의 반도체 칩이 들어 있다면 레벨4 자율주행 단계에서는 2000개의 반도체 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차량용 반도체 관련 기술 내재화를 촉구했다.

지난달에는 정 회장이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 인텔의 아일랜드 캠퍼스를 직접 방문했다. 이곳은 현대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생산한다. 정 회장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을 파악하고 차량용 반도체의 원활한 수급을 위한 대응 시나리오를 모색하기 위해 인텔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급변하는 자동차와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최적화 및 차별화된 고성능 반도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반도체 업체와의 협력, 차량용 반도체 개발 및 기술 역량 내재화 외에도 유망 기술을 보유한 반도체 스타트업에도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