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에너지공기업 위기에도 대통령 친분 비전문가 잇따라 임명···한전 사장 주목

에너지공기업 위기에도 대통령 친분 비전문가 잇따라 임명···한전 사장 주목

기사승인 2023. 08. 18. 16:5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가스공사·한난·한산 수장 '대통령 연줄 비전문가' 꿰 차
정부여당 밝힌 ‘능력과 전문성’ 인사 원칙 거리
곧 한전 차기 사장 임명···공운위 다음 주 예정
“한전 사장, 에너지전환 대응 전문성 필요" 제기
[포토] 전기·가스요금 인상
지난 5월 15일 서울 시내 주택가에 전기와 가스계량기가 설치돼있다. /사진=연합
경영위기와 에너지 전환을 맞닥뜨린 에너지공기업 수장에 윤석열 대통령과 연줄이 있는 비전문가들이 잇따라 임명되는 가운데 한국전력공사 차기 사장 인사가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논공행상과 경영위기 극복을 넘어 에너지전환 시대 대응 전문성을 갖춘 수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8일 취재에 따르면 대통령과 친분이 있는 비전문가들이 속속 에너지공기업 수장 자리를 차지했다.

10조원대 미수금이 쌓인 한국가스공사 사장에는 지난해 12월 철도 전문가인 최연혜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임명됐다. 최 사장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 캠프에서 활동했다.

전문성이 미흡한 최 사장은 1차 공모 당시 에너지 산업 이해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면접에서 탈락했지만 정부가 남은 후보 가운데 적임자가 없다며 사장 후보자를 재공모하라고 해 결국 임명됐다.

지난해부터 적자가 계속되고 있는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에도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에 몸 담은 정용기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이 지난해 11월 사장으로 임명됐다. 정 사장 역시 에너지 분야 관련 경력이 없는 비전문가다

지난 6월에는 가스공사 상임감사위원으로 강진구 전 법무부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이 선임돼 논란이 일었다. 강 위원은 관련 경력이 전무한 검찰 출신 대통령 측근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가스공사 상임감사는 기본급 1억1711만원에 성과상여금을 더해 1억6470만원을 받았다.

지난 10일 한전이 2대 주주로 있는 한전산업개발에도 윤석열 대통령 대선 캠프에서 활동한 함흥규 전 국가정보원 감찰처장이 임명됐다. 함 처장 역시 에너지 분야 비전문가다.

이 같은 인사는 정부와 여당이 주장하는 '능력과 전문성' 인사 원칙과 거리가 있다. 지난해 7월 박형수 국민의힘 당시 원내대변인은 "윤석열 정부의 인사 대원칙은 능력과 전문성이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도 당선인 시절인 지난해 4월 새 정부 내각 인선에 대해 "능력과 인품을 겸비해 국민을 잘 모실 수 있는 게 인사 기준"이라고 언급했다.

대통령과 친분이 있는 비전문가들이 에너지공기업 수장으로 연이어 발탁되는 상황에서 주요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 차기 사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다음 주 공공기관운영위원회가 열린다. 여기서 차기 한전 사장 후보가 추려질 가능성이 있다. 이후 심사와 검증을 거쳐 한전 주주총회에서 신임 사장을 의결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제청해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이르면 이달 말 한전 차기 사장이 임명될 전망이다.

업계와 정치권에서는 유력 후보로 김동철 바른미래당 전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김 전 의원은 대선에서 서울대 법대 동문인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특별고문을 맡았다. 윤 대통령 당선 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김 전 의원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 경험이 있지만 에너지 분야 전문성과 거리가 있다.

47조원대 적자 재무위기를 극복하고 세계적 탄소중립·에너지전환 시대 주요 에너지공기업 한전이 제 역할을 하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수장이 발탁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구준모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기획실장은 "에너지전환이라는 중장기 과제는 손 쉬운 일이 아니다. 중요한 에너지 전환기에 정치적 논공행상 식 이권 나눠먹기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한전 사장은 대통령과 정치적 친분이나 이해관계가 아닌 능력과 비전을 갖춘 자가 임명돼야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