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전 장관은 26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별안간 단식을 하기 시작했는데 그 직전에 검찰 조사를 받고 나왔지 않느냐"며 "검찰이 상당한 증거를 제시했던 것 아닌가. 그러니까 이 대표가 어떤 위기를 느껴서, 단식이라는 극한투쟁이 아니고서는 자기를 지킬 수 없다고 봤기 때문에 바로 단식에 들어간 거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해봤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가 단식 시작하기 직전에 검찰 조사를 받고 나온 후 뭐라고 그랬냐 하면 '검찰이 제대로 된 증거도 없이 사람을 불렀더라'고 이렇게 얘기를 했다"며 "그러니까 (이 대표 단식이) 명분도 잃고 실리도 잃는 결과가 될 가능성이 많다"며 "방탄단식이라는 비판을 이미 받았고 구속될 경우 실리마저 잃게 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밤 늦게 혹은 27일 새벽쯤으로 예상되는 구속영장실질심사 결과와 관련해선 "구속 된다면 이른바 비명계라는 분들이 명분을 얻겠지만 친명계가 호락호락 양보할 리도 없어 한동안 갈등이 더 격화할 것"이라면서도 "구속을 면하게 되면 친명계가 완전히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계기가 될 것이고 검찰, 정부여당 입장이 어려워 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회에서 제1야당 대표 체포동의안과 한덕수 총리 해임건의안, 검사 탄핵소추안 가결 등 헌정 사상 초유의 일들 잇달아 일어난 데 대해선 "정치의 실종"이라며 "옛날 같으면 이런 안건들이 여야 간 영수회담을 통하든 아니면 원내대표 간 타협을 통하든 어떤 절충을 통해서 해결될 일인데, 여야 간에 이걸 의논하는 회담 한 번 열린 일이 없다"고 지적했다.
윤 전 장관은 "과연 우리가 지금 의회 민주주의를 하는 나라인지 스스로 한번 물어봐야 되는 거 아니냐, 그런 생각까지 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