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 사이버 공격 무력화”…‘사이버 예비군’ 2025년 창설 추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003010000318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23. 10. 03. 10:16

철책 살펴보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추석 연휴이자 국군의날인 1일 경기도 연천군 육군 제25사단 상승전망대를 찾아 철책을 살펴보며 최성진 25사단장으로 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제공=대통령실
국방부가 오는 2025년을 목표로 '사이버 예비군' 창설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정보보호의 날'에 밝힌 사이버예비군 창설 계획을 구체화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3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전시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무력화하고 대응 공격 작전을 수행하는 사이버 예비군 창설이 추진되고 있다.

사이버 예비군 창설을 위한 '전시 부대확장계획서' 작성 지침이 올해 초 각급 부대로 하달됐고, 각급 부대는 합참에 이를 작성해 제출했다.

국방부와 합참은 각급 부대에서 제출한 안을 바탕으로 사이버 예비군의 인원 등 편성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시 동원부대에서 사전 지정 편성하는 동원 예비군 개념을 전시 사이버 분야까지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이버 예비군은 예비역 장교, 부사관, 정보보호병 등 전시 동원부대에서 사이버작전 직위 근무 경험자를 위주로 사전 지정해 편성된다.

이들은 전시 사이버작전사령부와 각 군 사이버작전센터 등에 투입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이라는 국정과제와 연계해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정보보호특성화대학 졸업자를 '사이버전문사관' 초임장교로 선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또 기존 사이버 전문직위 중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직위를 150여개 핵심직위로 지정해 이들에게 '사이버 수당'을 주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