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정보보호의 날'에 밝힌 사이버예비군 창설 계획을 구체화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3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전시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무력화하고 대응 공격 작전을 수행하는 사이버 예비군 창설이 추진되고 있다.
사이버 예비군 창설을 위한 '전시 부대확장계획서' 작성 지침이 올해 초 각급 부대로 하달됐고, 각급 부대는 합참에 이를 작성해 제출했다.
국방부와 합참은 각급 부대에서 제출한 안을 바탕으로 사이버 예비군의 인원 등 편성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시 동원부대에서 사전 지정 편성하는 동원 예비군 개념을 전시 사이버 분야까지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이버 예비군은 예비역 장교, 부사관, 정보보호병 등 전시 동원부대에서 사이버작전 직위 근무 경험자를 위주로 사전 지정해 편성된다.
이들은 전시 사이버작전사령부와 각 군 사이버작전센터 등에 투입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이라는 국정과제와 연계해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정보보호특성화대학 졸업자를 '사이버전문사관' 초임장교로 선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또 기존 사이버 전문직위 중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직위를 150여개 핵심직위로 지정해 이들에게 '사이버 수당'을 주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