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 측에 따르면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연구진과 의료기기 전문업체 스카이브는 7년여의 연구 끝에 1만 2000여명의 한국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인 맞춤형 인공관절 PNK를 개발한 바 있다. PNK 인공관절은 국내 환자의 해부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됐기 때문에 무릎 관절 크기와 연골 두께 등 한국인에게 최적화돼 150도의 관절 범위 가동이 가능하고 인공관절 마모율을 줄여 만족도가 높다는게 병원 측 설명이다.
인공관절 삽입물은 후방십자인대를 제거하는 PS타입과 후방십자인대를 보존하는 CR 타입이 있다. 당시 개발한 한국형 인공관절은 PS 타입으로 후방십자인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는 양반다리를 하는 한국인들의 생활특성을 고려한 개발이었다. 후방십자인대를 제거하는 것이 고굴곡으로 무릎을 구부리는 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90%는 PS 타입의 인공관절을 이용한다.
하지만 입식 생활을 하는 유럽·미국에서는 PS 타입 51%, CR 타입 49% 정도로 두 가지 인공관절이 비등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병원 측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CR 타입 인공관절의 해외 수출을 기대하고 있다.
PNK 인공관절은 지난 9월 식약처 허가를 받고 현재 미 FDA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FDA 승인 절차가 마무리되면 본격적으로 외국 시장에 진출하게 될 예정이다. 연세사랑병원 의료진은 "한국형 인공관절을 개발한 후 약 500여 명의 환자가 해당 임플란트를 사용했는데 고굴곡이 가능하고 크기나 형태 등이 한국인에 맞아 수술 후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또 이달부터 신촌·강남·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에서도 PNK 인공관절을 사용할 예정이다.
스카이브 관계자는 "해외 제품 점유율이 높은 국내 무릎 임플란트 시장에서 자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관절을 개발해 기쁘다"며 "국내 사업은 물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