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LG엔솔·삼성SDI·포스코퓨처엠, 흑연 공급망 대응회의 참석

LG엔솔·삼성SDI·포스코퓨처엠, 흑연 공급망 대응회의 참석

기사승인 2023. 10. 23. 15: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산업부, 업계와 흑연 수출통제 대응책 추진
장영진 차관 "흑연 수급 차질 없도록 하겠다"
산업부 로고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대한상의에서 장영진 1차관을 주재로 중국 정부의 흑연 수출통제 관련 '민관 합동 흑연 공급망 대응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20일 중국 정부의 발표 당일 긴급점검회의를 개최한 이후 보다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주요 참석자는 기획재정부·외교부·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포스코퓨처엠·배터리협회·소부장 공급망센터(KOTRA·무역협회·기계산업진흥회)·광해광업공단 등이다.

정부는 업계와 함께 흑연 수급 안정화를 위한 대응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업계가 차질없이 추가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업부-유관기관(KOTRA 등) 합동 '흑연 수급대응 TF'를 이날부터 가동해 밀착 지원한다.

우리 업계의 수입물량에 대해 허가가 지연되거나 반려되지 않도록 중국 정부와 고위급 협력 등 다층적 외교채널도 폭넓게 가동)해 긴밀히 소통하고 협의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인조흑연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년 가동 예정인 인조흑연 생산공장의 조기 가동과 생산역량 확충을 뒷받침랄 예정이다.

단기 대응과 함께 탄자니아·모잠비크 등 흑연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로부터 대체물량을 확보하고 실리콘 음극재 등 흑연 대체재를 적극 개발하는 등 흑연 공급망 자립화 및 다변화를 위한 대응역량도 확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컨틴전시 플랜을 통해 흑연 수급 여건과 상황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업계는 통상 측면에서 우리 정부가 중국 정부와 지속 소통할 것을 요청하면서 중장기적으로 국내외 안정적인 흑연 공급망 구축을 위해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영진 차관은 "이번 조치가 첨단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면밀히 대비할 계획"이라며 "흑연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민관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