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니 이어 말련도 틱톡숍 규제 검토…‘매출 80%’ 동남아 사업 제동 걸리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109010006047

글자크기

닫기

홍성아 쿠알라룸푸르 통신원

승인 : 2023. 11. 09. 14:38

clip20231109112824
인도네시아에 이어 말레이시아도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중국의 SNS 플랫폼 틱톡에 대한 규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틱톡숍 말레이시아 공식 홈페이지
아시아투데이 홍성아 쿠알라룸푸르 통신원 = 말레이시아가 최근 인도네시아에 이어 중국의 SNS 플랫폼 틱톡이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규제에 나섰다. 가격경쟁력이 있는 틱톡숍이 전자상거래를 독점하면 자국 기업의 생존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8일 더스타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파흐미 파질 디지털통신부 장관은 "말레이시아 정부는 인도네시아처럼 틱톡숍을 규제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소셜미디어에서의 상품 판매 관련 규정과 전자상거래 글로벌 최저한세(global minimum tax·기업의 법인세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부과하는 제도)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가 인도네시아에 이어 규제 도입을 검토하면 틱톡의 동남아시아 사업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 유럽 등 서방국가에서 퇴출 위협에 시달린 틱톡은 인구 6억7500만명의 동남아로 눈을 돌려 틱톡에 전자상거래 기능을 더한 '틱톡숍(Toktok Shop)'을 출시했다. 동남아는 틱톡의 최대 시장 중 하나로 매달 접속자 수는 3억2500만명에 달한다.

이에 틱톡 운영업체인 중국 바이트댄스는 2021년 2월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동남아 6개국과 영국, 미국 등 8개 국가에 틱톡숍을 공식출시했다. 출시 2년만에 동남아 6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필리핀·싱가포르)의 틱톡숍 전자상거래 거래액(GMV)은 전체 시장의 80%를 차지하며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틱톡숍은 바이트댄스의 전자상거래 부문 사업으로 이용자가 크리에이터가 영상에 삽입한 태그를 누르면 앱 안에서 구매까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저가 제품들이 말레이시아 소비자들과 직접 연결되면서 공정거래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인도네시아처럼 적극적으로 틱톡숍 규제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인도네시아 정부는 틱톡숍이 토코피디아(Tokopedia)와 같은 자국 전자상거래 사업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2023년 9월 26일 소셜미디어를 통한 상품 거래를 금지하는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에 틱톡 인도네시아는 2023년 10월 4일부터 인도네시아 틱톡숍 서비스를 중단했다.

파흐미 파질 장관은 인도네시아에서 틱톡숍 운영이 중단된 직후인 지난달 7일 공정성과 투명성을 늘리기 위해 틱톡숍 규제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발표 이후 말레이시아 정부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상품 판매 규정을 전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말레이시아 정부의 규제가 전자상거래 경쟁력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말레이시아국가기술협회(PIKOM)는 "틱톡숍은 말레이시아 전체 사업자의 78.4%에 달하는 소상공인의 전자상거래 진출을 돕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도네시아와 달리 말레이시아는 틱톡숍을 경계할 만한 자국 전자상거래 업체가 없다"며 "전방위적인 규제로 성장을 방해할 때가 아니라 지금은 소상공인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 활성화 지원에 나설 때"라고 지적했다.
홍성아 쿠알라룸푸르 통신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