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유아용품 고물가에 ‘휘청’…“육아가구 체감 물가지표 관리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113010007716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정연 기자

승인 : 2023. 11. 13. 09:57

GettyImages-jv12393796
/게티이미지뱅크
뛰어오른 유아동 용품 물가에 자녀를 키우는 부모의 양육비 부담도 커지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인 물가 관리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출산 대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육아가구가 체감할 수 있는 별도 물가지표를 지속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왔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10월 유아동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1%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85년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전반적으로 의류 물가가 상승세지만 유아동복 물가는 다른 의류 품목보다 상승 속도가 더 빠르다. 소비자물가지수 산정 대상 16개 의류 품목 중 상승률이 12%를 넘은 것은 원피스(12.3%)와 유아동복 2개 품목뿐이다. 티셔츠(11.6%), 청바지(11.6%) 등도 상승률이 높았지만 유아동복 수준을 밑돌았고 남자상의(6.9%), 여자상의(8.2%), 점퍼(6.1%) 등과는 격차가 컸다.

유아용 학습교재 값도 같은 기간 7.5% 올라 고등학교 학습서 수준(8.1%)의 상승률을 보였다. 초등학교 학습서(2.1%), 중학교 학습서(1.0%) 물가 상승률의 3∼7배 수준이다. 아동화값 상승률(6.3%)도 남녀노소 불문 수요가 많은 운동화(7.1%)와 물가 상승률이 비슷했고 구두(1.9%) 상승률의 3배를 웃돌았다.

실제로 국책연구기관 육아정책연구소가 발간한 '육아물가지수(Ⅳ)'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20년 육아 관련 상품·서비스 중심으로 산출한 육아물가 상승률은 2% 내외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두배 수준에 달했다.

보고서는 "2013∼2020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저물가 기조로 등락률이 거의 1%대에 불과했지만 육아물가지수는 이를 훨씬 상회했다"라며 "전체 가구가 소비하는 품목에 비해 육아 상품·서비스 시장은 고물가가 형성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영유아 상품·서비스가 대부분 단기 수요 등락이 크지 않은 필수재 성격인 점, 육아용품 업계의 고급화 전략 등을 고물가 현상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했다. 보고서는 "정부 정책이 유치원·어린이집 비용 등 서비스 지원에 한정돼 영유아 가구가 체감하는 육아 상품·서비스 비용 부담 수준은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육아 상품·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육아가구 부담이 늘고 있다고 판단하고 2012년 육아물가지수 개발에 착수했다. 물가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저출산 대책의 효과를 확인하고 양육비 인상 등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소비자물가지수 산정 품목 중 육아가구가 주로 소비하는 11개 상품·서비스의 가중치를 육아 가구가 체감할 수 있도록 재조정해 별도 물가지수를 개발했고 이후 지수를 고도화했다. 2013년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한 육아물가지수가 처음 발표됐고 2018년 전국 조사로 확대됐다. 하지만 관련 예산이 줄면서 2020년을 끝으로 연구는 중단됐다.

육아물가지수 연구·개발이 중단된 뒤로 지금까지 범정부 차원의 육아 물가 관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박진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육아용품 물가와 일반 물가 차이가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체감지수로 육아물가지수를 활용하면 물가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육아정책연구소는 2021년 발간한 최종 보고서에서 "정부 정책이 현금 지원으로 확대되는 지금 육아 가구가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가격 모니터링을 지속해야 한다"라며 육아물가지수를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의 하위지수로 산출하는 안을 제안했다.
이정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