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육돌봄연구회, 늘봄학교 도입·확대 교육부 권고
|
16일 교육부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늘봄학교 발전방안 논의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에는 미래교육돌봄연구회와 교원, 학부모,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한다.
이번 정책토론회 또한 미래교육돌봄연구회에서 제안한 '늘봄학교 도입 및 확대를 위한 권고문'에 대해 학부모, 교원,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래교육돌봄연구회는 14명의 학계·현장 전문가로 구성된 늘봄학교 발전방향 자문단이다. 지난 6월 발족해 5개월간 활동하며 연구와 토론회, 간담회 등을 바탕으로 권고안을 마련했다. 늘봄학교 확대를 위한 운영체계, 지역사회의 연계 등의 내용이 담겼다.
연구회는 권고문에서 늘봄학교 도입 및 확대의 필요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2023년부터 시행한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늘봄학교 확산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광역 차원에서는 광역 지자체와 교육청이 '늘봄학교 지원협의회'를 꾸리고, 기초 단위에서는 기초 지자체와 교육청·학교·지역사회 아동복지기관 등이 '늘봄학교 운영협의회'를 구성해 맞춤형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늘봄학교 현장의 교사, 돌봄전담사, 교육 강사 등 여러 관계자들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시·도 교육청에 '늘봄학교 지원센터'를 공통적으로 구축하고, 각 학교에 기존 교원을 늘봄학교 행정 업무에서 분리하는 '늘봄학교 전담실'을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늘봄학교 프로그램 및 환경 구축을 위해 지원인력 배치와 학교 공간 재구성을 위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봤다. 교사와 돌봄전담사들이 행정 업무와 각종 민원에서 해방되려면 그에 상응하는 지원인력 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학교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게 될 아이들의 성장·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공간 조성·리모델링 등을 위해 투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내년 늘봄학교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다음 달께 발표할 예정이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정부는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권고문을 세심히 검토해 늘봄학교 정책의 완성도를 높여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