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 본부장은 29일 아시아투데이가 주관한 '스마트축산 확산 방안 모색' 정책포럼에서 "최근 축산업이 ICT 중심의 데이터 기반 솔루션 장비가 도입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본부장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서 개방도 하고, 이를 통해 우수한 모델을 발굴해 솔루션 스마트축산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역할을 해나갈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구체적으로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과 유통시스템 등 축산관련 기관이 연계돼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정보시스템을 조성해 연계 중인 농장 정보에 대한 유전, 타입, 환경, 품질 평가, 가격 정보들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개별 농가의 경영정보 등 개인정보가 활용될 수 있는 만큼 선제적 관리 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유 본부장은 "제 3자 제공에 따른 원천데이터를 보유한 기관에서의 소유권 문제, 개방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향후 협의체를 통해 조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 본부장은 "스마트축산은 노동력 감소,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 수단"이라며 "앞으로 스마트축산 장비나 수출지원 분야 등 핵심있는 분야를 우선적, 집중적으로 운영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농업 육성·지원법이 시행되면 관련 지원도 축산 쪽에 반영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