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젊은세대, 무분별한 SNS 게시물 규제 필요"
![]() |
3일 아시아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숏컷'이라는 이유로 여성을 폭행한 20대 남성의 강력처벌 및 신상공개를 요청한 국회 국민동의청원이 지난달 22일 기준 5만명을 넘어서 소관위원회인 법제사법위원회에 회부됐다. 이 사건이 언론에 알려진 이후 엑스(X, 옛 트위터)에는 여성 누리꾼들이 이른바 '숏컷' 인증을 통해 해당 범죄 피해 여성을 응원하는 캠페인을 벌이거나 남성 집단에 대한 분노를 드러내고 있다.
그런가 하면 최근 블라인드에는 '여대 출신은 채용에서 다 거른다'는 내용의 글이 올라와 젠더 갈등을 부추겼다. 한 부동산 신탁회사 소속 직원이 "내가 실무자라 서류평가 하는데 여자라고 무조건 떨어뜨리지 않는데 여대 나왔으면 그냥 자기소개서를 안 읽고 불합격 처리한다"고 주장해 여성들의 공분을 산 것이다. 결국 고용노동부는 블라인드에서 성차별 의혹이 제기된 2개 기업 등 총 3곳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젠더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갈등 비용이 수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본다. 지난 2013년 삼성경제연구소는 세대·젠더·이념·지역 등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최대 246조원에 달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정부 역시 올해 최초로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분석'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본격 관리에 나섰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젠더갈등은 장기적으로 국내 인구감소 문제와 경제적 가치 등을 고려했을 때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히 전개돼야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며 "젠더갈등의 구조는 하나로 정의내리기 어렵다. 비정규직과 정규직, 노사 갈등처럼 젠더 갈등도 사람 간의 갈등 속에서 발생하지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더 많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 등 관계 부처에서 장기적인 방안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젠더 갈등이 코로나19 이후 더욱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코로나19가 지속되면서 경제가 어려워지고 젊은 세대들이 직장 등에서 성취감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럴 때 혐오나 차별이 그 틈을 비집고 나올 수 있다"며 "젠더 갈등은 사실 극단적인 소수의 반목이지만 여성에게는 유리천장과 남성 중심적인 사회적 분위기가 지속돼 왔기 때문에 더 갈등이 부각되는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요즘은 워낙 다국적인 매체들도 많고 마이너한 SNS 매체도 늘어나 갈등을 더 조장하고 있는 상황인데, 아직까지 혐오나 차별 등 갈등을 유발시키는 게시물에 대한 SNS나 온라인 상의 법적인 제재가 미흡하다. 젠더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법적 제재를 비롯해 포털 등 온라인 필터링 강화, 시민의식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