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태 뉴시티 특위위원장은 이날 오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서남권 메가시티 구축 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강기정 광주시장과 면담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서울·부산·광주를 3축으로 지방 소멸·저출산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의 세계적 경쟁력은 물론 지방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인구 500만 이상의 메가시티(초광역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서울만 특별시로 볼 것이 아니라 광주는 문화특별시, 부산은 해양특별시로 균형 있게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해왔다"며 "광주가 가진 엄청난 에너지를 잘 쏟아내면 서남권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가 새만금까지 품을 수 있다고 본다"며 "광주가 품는다면 새만금 사업도 이른 시일 내에 구체화하고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또 메가시티 정책이 저출산·고령화 위기 탈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진 국가들보다는) 다소 늦었지만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자족하는 지방 도시에 살며 소도권으로 떠나지 않을 수 있다"며 "광주가 그러한 국가균형 발전의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다만 강 시장은 서남부 여러 권역이 수평적으로 네트워킹하며 발전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국토의 축에 광주를 더한 다극화한 메가시티에는 공감하면서도 주변을 흡수하는 제2의 서울처럼 발전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 것이다.
강 시장은 "윤석열 대통령께서 서울·부산 축 균형 발전을 말씀하셔서 아쉬웠지만, 뉴시티 특위에서 부족분을 메꾸셨다"면서도 "서울 중심에서 전국 3축 다극화가 된 것처럼, 광주 중심으로 주변 도시들을 흡수하면 주변이 반발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전주권·새만금권·광양권·목포권·광주권이 수평적으로 네트워킹하는 초광역 서남권 메가시티 조성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