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현대차 장재훈·기아 송호성, 나란히 ‘수출의 탑’ 들어 올렸다… 국가경제 떠받친 공로

현대차 장재훈·기아 송호성, 나란히 ‘수출의 탑’ 들어 올렸다… 국가경제 떠받친 공로

기사승인 2023. 12. 06.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700여 기업 중 1·2위 트로피
전기차 전용공장… 생산력↑
미국 등 해외시장 전방위 개척
"국가경제 지속 기여 힘쓸 것"
basic_2022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과 송호성 기아 사장이 나란히 서서 '수출의 탑'을 힘껏 들어올렸다. 합산 연 545억 달러, 역대 최대규모 자동차를 수출한 현대차·기아는 올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을 이끈 그야말로 주역이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 국가경제에 기여한 공을 치하할 정도다. 이미 현대차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산업은 전후방 산업 포함 총 15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있고 전체 제조업이 내는 세금 중 11%를 내며 경제 선순환을 떠받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현대차는 300억달러 수출의 탑, 기아는 200억달러 수출의 탑을 각각 수상했다. 양사는 올해 수출의 탑 수상 1700여 기업 중 수출액 1위와 2위를 휩쓸었다. 현대차가 200억달러 탑을, 기아가 150억 달러 탑을 수상한 2012년 이후 11년 만이다.

현대차의 해당기간(2022년 7월1일~2023년 6월30일) 수출 실적은 310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239억달러) 대비 29.6%, 기아는 235억 달러로 전년 동기(180억 달러) 대비 30.7% 각각 늘었다.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이다.

현대차·기아의 수출 물량 중에서 고부가가치 차종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차 출시를 통해 판매믹스를 지속 개선한 결과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모델들(아이오닉5·EV6 등)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호평을 받은 영향이 크다.

양사 전기차 수출은 2020년 11만9569대에서 2022년 21만8241대로 2배 가까이 늘었다. E-GMP 기반 신형 전기차들은 현대차·기아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 생산 능력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어 향후 현대차·기아가 받을 수출의 탑은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는 지난 11월 울산공장 내에 연간 20만대 생산 규모의 전기차 전용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기아는 지난 4월 오토랜드 화성에 연간 15만대 규모의 고객 맞춤형 전기차 전용 공장을 착공했고, 오토랜드 광명도 일부 라인을 전기차 라인으로 전환했다. 현대차·기아는 2030년까지 총 31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현대차는 환경에 민감한 유럽 시장에서 아이오닉 5 등을 앞세워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이 직전년도 대비 9.7% 성장했다.

미국시장에서는 특히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판매 증가가 눈에 띄었다. 제네시스는 미국에서 2년 연속 최다 판매 기록을 경신하는 등 주요 지역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를 통해 글로벌 입지를 다지고 있다. 기아의 지난해 수출은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북미 33%, 독일·영국·프랑스 등을 포함한 유럽 31%, 중동·아프리카 13%, 아시아·태평양 12%, 중남미 7% 등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 걸쳐 있다.

이날 행사장에는 국산 자동차 고유 모델 수출의 효시 중 하나인 '포니 왜건'이 전시됐다. 포니는 1976년 에콰도르에 5대가 수출된 것을 시작으로, 1982년에는 약 60개국에 수출되면서 자동차산업이 수출 주도형 국가인 우리나라의 대표 산업으로 도약하는 기폭제가 됐다. 이후 지속적인 해외시장 개척에 힘입어 지난 2021년 기준 대한민국 10대 수출 품목 중 자동차는 2위, 자동차 부품은 5위를 차지했다.

자동차산업의 무역수지 기여도는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1년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은 모두 합쳐 487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해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 293억 달러의 약 1.7배에 달하는 규모다. 현대차그룹을 필두로 자동차산업은 생산 면에서는 전체 제조업의 12.1%, 세수 면에서는 국세 및 지방세의 10.8%, 부가가치 측면에서는 전체 제조업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직접 고용 인원은 약 33만명으로, 우리나라 제조업 294만명의 11.2%에 달한다. 다양한 전후방 산업까지 약 15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평균임금 역시 제조업 평균의 약 12%를 상회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판매믹스 개선과 글로벌 판매 확대 노력 등으로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면서 "향후에도 글로벌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 확대로 국가경제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