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의료계에 따르면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 수는 10월 셋째 주 102명에서 11월 둘째 주 226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1~12세 아동 환자가 전체의 약 80%를 차지했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으로, 비말을 통해 감염된 후 2~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흉통·기침 등의 증상을 보인다. 폐렴은 2~6주까지 기침과 전신 쇠약이 지속될 수 있고 드물게 피부의 다형 홍반이나 관절염·수막염·뇌염 등 호흡기 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은 지난 8월 하향 조정된 코로나19와 같은 제4급 법정 감염병이지만 코로나19와 달리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좋아 적절한 항생제 투여시 임상 경과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 시 몸에서 항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면역이 생기지만 오래 지속되지는 않아 재감염이 흔히 일어날 수 있다.
박영아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호흡기 교수(전문의)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진단되면 마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를 우선 투약하는데 이 때 대부분 호전되기 때문에 마이코플라즈마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며 "그런데 최근 입원 치료했던 소아들은 마크로라이드에 내성을 보이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의 비율이 높고 항생제를 투여해도 증상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늘어 과거보다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겨울은 코로나19, 독감, 호흡기융합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호흡기 바이러스가 복합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점도 예방과 신속한 치료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박 교수는 "약을 먹어도 발열과 기침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권고에 따라 검사를 시행해 질환을 감별하고 적합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은 잠복기가 2~3주로 길기 때문에 가족 및 어린이집 내에서 유행이 수주간 지속될 수 있다"며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자와 밀접접촉 후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원을 삼가고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제약업계도 해열제와 항생제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증산에 나서고 있다. 한미약품은 겨울철 독감 유행에 따라 해열제 등 품목의 생산량을 선제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고, 대원제약은 해열제·진해거담제 등 감기약 생산량을 최대치까지 끌어올려 수요에 대처하고 있다. 국내 독감 유행에 더해 중국·인도네시아 등에서 유행하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우려도 제품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