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벤츠 S클래스, 국내 판매 10만대 돌파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벤츠 S클래스, 국내 판매 10만대 돌파

기사승인 2023. 12. 13. 10: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003년 4세대 S클래스 국내 공식 출시
한국, 세계 3위 S클래스 시장 및 세계 2위 마이바흐 S클래스 시장
사진2-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7세대 완전변경 모델 (2021년)
S클래스 7세대 완전변경 모델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S클래스'가 국내 누적 10만대 판매를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S클래스는 2003년 4세대 모델이 국내 공식 출시된 이후 지난달까지 누적 기준으로 총 10만911대가 판매됐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마이바흐·메르세데스-AMG 등 모든 헤일로 브랜드의 S클래스 세단 모델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마티아스 바이틀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대표이사는 "10만대라는 기록은 S클래스가 가진 헤리티지·높은 품질은 물론 한국 시장에서 갖는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으로서의 상징성을 다시 한번 증명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눈높이에 맞는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S클래스는 지난해 국내에서 1만1645대 판매되며 한국에서 1~2억원대 최상위 차량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같은해 수입 베스트 셀링카 3위를 차지했다. 올해 1~11월 8378대가 누적 판매돼 수입차 모델 판매 4위를 기록하며 높은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ㅇ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 2세대 완전변경 모델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2015년 '수준 높은 럭셔리'를 구현한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를 국내 최초 출시하며 톱엔드 세그먼트에서의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했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7242대 판매되며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 세그먼트 리더로서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2016년도부터 현재까지 한국은 전 세계에서 세 번째 S클래스 시장 지위를 유지 중이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는 2019년부터 전 세계 2위 시장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국 시장이 S클래스의 주요 시장으로 등극할 수 있었던 배경은 국내 고객들의 S클래스와 브랜드에 대한 로열티 덕분이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2021~2022년 신차 구매고객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S클래스 고객들은 결정적인 구매 요인으로 S클래스의 고급스러운 외관 디자인과 제품의 명성 그리고 편안한 승차감을 차례로 꼽았다.

특히 제품 자체의 명성이 주요 구매 결정 요소로 꼽혀 S클래스가 수입 대표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구매 후에는 편안한 승차감을 압도적인 선호 요인으로 꼽았다.

한편 S클래스는 '최고가 아니면 만들지 않는다'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철학을 가장 명확하게 구현한 모델로 1951년 출시 이래 전 세계적으로 총 400만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링 플래그십 세단이다.

S클래스는 특별함을 의미하는 독일어 '손더클라세(Sonderklasse)'에서 'S를 가지고 온 모델 답게 첫 탄생부터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고급 럭셔리 세단으로서 메르세데스벤츠의 철학과 기술의 정수가 담겨 있는 다양한 혁신 기술을 끊임없이 선보이며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모델이다.

사고 예방 안전시스템 프리-세이프와 인텔리전트 드라이브를 비롯한 메르세데스벤츠의 최첨단 안전·주행·편의 기술이 S클래스에 가장 먼저 적용됐다.

국내에서는 1987년 수입차 개방 조치 이후 가장 처음 국내에 판매된 2세대 S클래스 모델인 560 SEL(W126)을 통해 '한국 최초의 수입차'로 소개됐다. 2003년에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를 통해 4세대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가 국내 공식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의 대표 주자로 자리잡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