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차질 확산에 칼 빼든 정부
|
정부는 전공의 집단사직과 의대생 동맹휴학 등 의료계 단체행동 수위가 높아지자 행정안전부·법무부·대검찰청·경찰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21일 특단 조치를 내놓았다.
우선 정부는 업무개시명령에도 의료현장에 복귀하지 않고 집단행동을 주도하는 주동자 및 배후세력에 대해서는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복귀를 거부하는 개별 전공의도 원칙적으로 정식 기소를 통해 재판에 넘기겠다는 방침이다. 만약 환자의 생명과 건강이 훼손되는 결과가 실제 발생한다면 가장 높은 수준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의사단체 집단행동 점검 결과, 20일 오후 10시 기준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 약 71.2% 수준인 8816명이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는 7813명(63.1%)으로 집계됐다.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 지원센터'에 새로 접수된 피해건수는 20일 오후 6시 기준 58건이다. 19일까지 접수된 34건을 합치면 90건을 넘어선다. 피해사례 대부분은 진료예약 취소, 무기한 수술연기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