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미·영·캐나다 ‘가짜 뉴스’ 정의에 기본합의

미·영·캐나다 ‘가짜 뉴스’ 정의에 기본합의

기사승인 2024. 02. 26. 17:4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GEC 루빈 특사 "다른 국가들 동참 희망"
FILES-US-TECH-BIDEN-DISINFORMATION
(미국 캘리포니아 멘로 파크의 메타(옛 페이스북) 입구에 설치된 회사 로고.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서 딥페이크 콘텐츠를 차단하는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AFP 연합뉴스
외국의 가짜정보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민주주의 국가들의 연합이 이뤄지고 있다.

미 국무부 산하 가짜뉴스 대응 조직인 국제관여센터(GEC) 제임스 루빈 특사가 '허위정보에 대한 정의'에 의견이 모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26일(현지시간) 전했다.

미국, 영국과 캐나다는 이미 공식적인 기본합의문에 서명을 마쳤고 다른 국가들의 동참을 희망하고 있다.

GEC는 외국에서 생산된 가짜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짜정보에 대한 세계적 전략을 도출하기보다 미국의 아프리카 보건 서비스에 대한 러시아 은밀한 허위정보 조작을 폭로하는 데 더 집중하는 방식이다..

미국 등 3개국은 가짜정보를 민·관이 공동 대응해야 하는 국가안보 위협으로 간주하는 기본 틀에 합의했다. 이들은 해외 가짜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공유하고 데이터 분석도 함께 하기로 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 출신 루빈 특사는 허위 정보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이 매우 힘든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허위정보'와 '적대적 견해'를 구분하기 위해선 정부가 어디서,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확인하고 허위정보의 생산자에게 꼬리표(label)를 붙여야 한다며 중국과 러시아를 거론했다.

그는 동유럽 국가 국민들의 휴대폰에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생물학 무기를 보냈다"는 전형적인 가짜 정보가 유포된 사례를 들며 "러시아 정부가 아니라 러시아 투데이란 매체가 이 정보를 유포했다는 정보 꼬리표가 붙었으면 가짜 정보로 인한 피해가 감소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핵무기 감축협상에도 관여했지만 가짜뉴스를 다루는 게 더 힘들다"며 "언론자유가 보장된 미국에선 소셜 미디어(SNS)에 대한 규제조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와 중국이 정보공간을 외부세계에 차단하고 있는 근본적 비대칭 구조 때문에 가짜 뉴스에 대처하는 게 더 힘들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