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도 더 협력…소통 적절 시점 생각해야"
|
노동·교육·연금 3대 개혁과 의료 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되, 총선 결과는 "더 소통하라"는 민심의 요구로 받아들여 국민에게 다가가겠다는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만남 등 야권과의 협치에 대해 윤 대통령의 공개 발언은 없었지만, 대통령실은 "모두가 다 열려있다"며 추진 의지를 밝혔다.
◇"국민 매서운 평가 '사랑의 회초리'…본질은 더 소통하라는 것"
특히 윤 대통령은 이번 선거 결과를 '사랑의 회초리'로 비유하며 자신을 비롯해 정부가 대국민 소통에 나서야 함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자식이) 매를 맞으면서 무엇을 잘못했고,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반성한다 어머니가 주시는 '사랑의 회초리' 의미가 더 커질 것"이라며 "국민을 위한 정치를 얼마나 어떻게 잘할지가 우리가 국민으로부터 회초리를 맞으며 생각해야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국정의 방향은 옳지만, 그 국정을 운영하는 스타일과 소통 방식에 문제가 있지 않으냐가 절대다수 의견인 것 같다"고 하며, 국정 기조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정 기조는 지난 대선을 통해 응축된 우리 국민의 총체적 의견"이라며 "기본적으로 우리가 추진해 왔던 국정 기조나 원칙은 가져가되, 그동안 제기됐던 여러 기술적인 문제라든지 소통, 지역 예산, 입법의 문제 부분은 잘 조화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이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구조 개혁은 멈출 수 없다"고 하며 노동·교육·연금 3대 개혁과 의료 개혁 추진 의지를 재확인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
◇"무분별한 현금지원은 마약 "…대통령실 "영수회담 못할 이유 없다"
윤 대통령은 "무분별한 현금 지원과 포퓰리즘은 나라의 미래를 망친다. 경제적 포퓰리즘은 정치적 집단주의와 전체주의와 상통한다"고 거듭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공개 발언과 비공개 참모 회의 등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의 영수회담이나 야권과의 협치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소통과 관련해선 "국회와도 긴밀하게 더욱 협력해야 할 것", "민생 안정을 위한 예산과 법안은 국회에 잘 설명하고 더 많이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영수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윤 대통령이 '국민을 위해서라면 못할 게 뭐가 있느냐'고 했는데 그 안에 답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등으로 수사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회담을 거부했던 총선 전 입장과는 분명히 달라진 것이다.
이 관계자는 5월 말 시작되는 22대 국회, 여당의 지도체제 완비 등을 언급하며 "어떤 시점이 국회와 소통하기 적절한지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여당 지도부 구성 이후 적절한 시점에 영수회담을 검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실은 취임 100일 이후 진행되지 않았던 기자회견,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 재개 등 대국민 소통을 위한 다양한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한편 윤 대통령은 12분 가량 이어진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민을 22차례 언급하며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민생은 11번, 민심은 3번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