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제2의 오송참사 없게… 첨단 AI예보로 홍수피해 막는다

제2의 오송참사 없게… 첨단 AI예보로 홍수피해 막는다

기사승인 2024. 05. 16. 18:1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환경부 여름철 홍수대책 발표
하천수위 1분 주기 관측, 상황 전파
디지털기술로 예보지점 3배로 늘려
취약지역 사전대비·제방정비 확대
운전자 내비게이션에 홍수정보 안내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 홍수안전 관리체계'를 바탕으로 여름철 홍수대책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가 강화된 여름철 홍수대책을 추진한다. 올해부터는 첨단기술을 적용한 인공지능(AI) 홍수예보를 본격 시행하고, 전국에 설치된 수위관측소에서 하천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해 위험 상황을 관계기관에 전파한다. 하천·하수도 등 취약지역은 철저히 사전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을 발표하고 "정부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며 "올해 홍수대응 방안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 간 협조체계를 긴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오송 지하차도에선 미호강 임시제방이 무너지며 순식간에 지하차도로 물이 들이닥쳐 참사로 이어진 바 있다. 환경부는 먼저 첨단기술을 적용한 AI예보와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인명피해 발생으로 이어지기 전 대응을 위한 시간 확보에 나선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홍수예보 지점을 기존 75개에서 223개로 확대한다. 하천 수위정보 제공 지점은 국가 310곳, 지방 363곳으로 총 673곳을 운영한다. 특히 문자가 아닌 음성으로 위기 상황을 전파하는 VMS, 재난안전통신망 등을 활용해 지자체, 소방, 경찰 등 홍수대응 기관에는 홍수상황을 일시 전파할 방침이다.

올해는 하천·하수도 등 취약지역 사전 대비도 강화됐다. 우기 전 지자체가 침수우려지역 빗물받이 점검·청소하고, 홀 추락방지시설도 점검한다. 지난해 10개 지구에 그쳤던 제방정비도 올해는 30개 지구로 확대했다. 제방 및 하천공사 현장 등도 홍수기 전까지 전문기관과 함께 일제점검 후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선제적 댐 방류로 홍수 대비 물그릇도 확보한다. 집중호우 시 최대한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20개의 다목적댐의 물을 홍수기 전까지 집중 방류해 홍수조절용량을 61억4000만㎥ 확보한다.

아울러 운전 중 홍수정보 확인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올해부터는 처음으로 차량 운전자가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지점 부근을 지나면 내비게이션에서 음성으로 안내를 해줌으로써 지하도로와 같은 위험지역에 대한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다만 도심 저지대를 중심으로 침수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강남역 등은 장마철마다 침수가 잦아 상인들의 피해도 막심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강남역, 광화문, 도림천을 중심으로 대심도 빗물터널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한 장관은 "각 사업에 대해 서울시와 업체 간의 수의계약 체결 절차가 진행 중에 있다"며 "올해 12월부터 착공하는 걸 목표로 오는 2028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