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해수부-해진공 공공 선주사업으로 선사 초기부담 경감

해수부-해진공 공공 선주사업으로 선사 초기부담 경감

기사승인 2024. 05. 23. 11: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4일 '공공 선주사업 민관협의체' 개최
사업 추진경과 점검 및 향후 계획 수립
올해 자동차운반선 확보 사업 집중 점검
clip20240523105148
현대글로비스 자동차 운반선./현대글로비스
해양수산부가 해양진흥공사와 '공공선주사' 역할 강화에 나선다. 전문 선주사가 발달한 그리스 등 주요 해운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전문 선주사가 없기 때문에 공공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 해운물류 산업의 경쟁을 강화하고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해수부 측은 "선주사의 역할을 공공기관인 해양진흥공사가 수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 변동에 민감한 해운업의 특성 상 수요는 급격하게 변동하는 반면, 공급은 선박건조 기간 등으로 즉각적인 조절이 어려운데, 선주사는 선복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수부에 따르면 24일 한국해양진흥공사와 '공공 선주사업 민관협의체'를 개최한다. 공공 선주사업의 추진 경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사업 추진 방향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양 기관은 운송 수요가 많은 특수선 등 선종 다변화, 탈탄소 규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선 확보 등 국내 해운·물류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사업 추진 방안을 주로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자동차운반선(PCTC) 확보 사업을 집중 점검한다. 자동차 운반선 부족으로 인한 국내 완성차 업계의 자동차 수출 물류난을 해소하기 위해 2027년까지 1만800CEU급 초대형 자동차 운반선을 4척 공급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해진공 관계자는 "국제 해양 환경 규제 강화와 중국 자동차 수출 물량 증가로 인해 코로나19사태 이후 자동차운반선(PCTC) 용선료가 10배 이상 올라 이를 지원하기 위함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진공은 올해 21척의 선대를 확보했다. 건조중인 선박 6척과 운항되고 있는 선박 15척 등이다.

해수부는 해운물류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수출입 애로가 있는 선종을 대상으로 신규 사업을 우선 발굴하고, 해운분야 탈탄소 규범 강화를 고려해 공공 선주사업을 활용한 친환경 선박 확보 방안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4월 1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한 해운산업 경영안정 및 활력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우리 선사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공공 선주사업을 지속 확대할 것"이라며 "특히 우리 해운물류 산업의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고 나아가 공급망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