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국문화원 K-컬처 전초기지로…‘코리아 시즌’ 확대

한국문화원 K-컬처 전초기지로…‘코리아 시즌’ 확대

기사승인 2024. 05. 23. 17:0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문체부,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
20240523-유인촌 장관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01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글로벌 문화 중추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가 K-컬처 전 분야를 통합하는 총괄적 추진체계를 정립하고, 한국문화원을 K-컬처 전초기지로 재정비한다. 한국문화 종합축제인 '코리아 시즌'을 연간 10개 내외 국가에서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문체부는 23일 글로벌 문화 중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문화예술, 콘텐츠, 관광, 체육 및 유관 산업의 국제교류 사업을 연계하고 조정하는 총괄적 추진 체계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문체부 내에 국제문화정책협의회를 운영, 분야별 정책을 조율하고 협업 방안을 논의한다.

해외 현지에서는 세계 34개국에 42개소가 있는 재외 한국문화원이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 비즈니스센터, 세종학당 등의 협업을 이끄는 구심점이 되도록 역할을 확대한다.

또한 국제문화교류지원 전담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설치 근거를 법제화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 등 다른 기관의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진흥원 중심으로 재편한다.

용호성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2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그간 많은 자원들이 투입됐음에도 대부분 일회성, 단발성이라 지속적으로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해외시장과 접접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면서 "부처 내 협업 구조를 만들어서 국제 교류에 대한 종합적인 전략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용 실장은 "개별적으로 움직이던 한국문화원들을 전반적으로 재정비해서 종합적인 대행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면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0년의 역사를 갖고 있지만 예산이나 사업이 빈약한 편이었는데 진흥원 역할을 좀 더 강화해서 에이전트로서의 역할을 해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체부는 기존 국제문화교류 관련 지원사업 구조도 '현장' 중심으로 전면 개편한다. 문화예술 분야 민간 국제교류 활동 공모제도는 개별적 정성 심사를 최소화한다. 지원 항목도 항공료 등으로 표준화하고 정산 절차도 간소화한다.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문화예술인을 대상으로 진출 지역 등에 대한 맞춤 컨설팅을 제공해 민간 국제교류 접근성도 높인다. 용 실장은 "민간단체들이 해외로 나갈 때 컨설팅 시스템을 장르별로 운영해서 체계적으로 안내하는 원스톱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20240523-유인촌 장관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 발표14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이 2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글로벌 문화 중추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국제문화정책 추진전략'에 대한 세부내용을 발표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소규모 개별 행사들도 단일 브랜드로 통합한다. 별개로 운영하던 문화행사 순회 지원사업을 '투어링 K-아츠'로 일원화한다. 수교, 국제행사 때 진행하는 한국문화 축제는 '코리아 시즌'으로, 기업 대상(B2B) 행사는 '코리아 엑스포'라는 단일 브랜드로 재편한다. 한국문화 전반을 집중 홍보할 '코리아 시즌'은 연간 10개 내외 대상 국가를 선정해 개최를 검토하고 총괄 예술감독을 선임한다.

해외 사업 거점 확대를 위해 올해 싱가포르, 인도, 호주, 스페인 등에 콘텐츠 해외 비즈니스센터 10개소를 새롭게 개설하고 2027년까지 50개소로 늘린다.

K-컬처의 수출 기반 마련을 위한 금융 지원(완성보증 수출용 보증 한도 30억원→50억원), 저작권 보호 지원(해외 출원등록 지원 125개사→200개사), 콘텐츠 번역인력(42명→70명)도 확대한다.

부처 간 협업도 강화한다. 여러 부처가 참여하는 'K-박람회'는 올해부터 연간 2회 이상 개최하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해외홍보관에 이어 연말에는 두바이 홍보관을 연다. 외교부와 협업해 재외공관(167곳)을 거점으로 한국문화 체험 행사를 제공하고, 교육부와 현지에서 문화행사와 연계한 유학박람회 등을 개최한다.

국내에서는 대형 한류문화축제(가칭 '비욘드 K-페스티벌')를 열고, 이와 연계한 국제 포럼을 개최한다.

이날 브리핑에서 예산과 관련된 질문에 유인촌 장관은 "정확한 액수를 말하긴 힘들지만 8~9월쯤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며 "이 분야에 힘을 실어서 확실한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 예산을 많이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과거 해외 공연을 다니며 힘들었던 경험에 관해서도 얘기했다. 그는 "1980년대부터 해외 공연을 다녔는데 갈 때마다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며 "우리 시스템이 매번 연말 연초에 결정되기 때문에 그 해에 공연, 전시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얻을 수가 없었다. 최소한 2~3년 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