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람보르기니 亞총괄 “2028년 전동화 첫 모델…韓시장 중요성 커”

람보르기니 亞총괄 “2028년 전동화 첫 모델…韓시장 중요성 커”

기사승인 2024. 05. 24. 18:1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람보르기니, 2024 서울 미디어 트랙데이 개최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아태 총괄 등 참석
"한국 시장 수요 증가…고객 니즈 접점 마련"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태 총괄
24일 경기 용인시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람보르기니 서울 우라칸 트랙데이 행사에서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이 브랜드 및 전동화 전략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김정규 기자
프란체스코 스카르다오니 람보르기니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은 람보르기니의 전동화 전략과 관련해 "2028년까지 첫 순수 전기차가 출시되는 일정은 변함 없다"고 말했다.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24일 경기 용인시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2024 람보르기니 서울 미디어 트랙데이'에서 "전기차에서도 첫 번째가 아닌 최고의 차량을 선보이는 것이 람보르기니의 목표"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그는 "2030년 전까지 완전히 전동화된 '아벤타도르'를 출시하고, 2030년에는 전동화된 우루스가 나와 총 두 가지의 전동화 모델이 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해 람보르기니만의 DNA를 유지한 채로 전동화 전략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두 가지 전동화 모델 외에 다른 람보르기니 슈퍼 스포츠카의 경우 하이브리드로 된 형태의 내연기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라며 "이는 V12 내연기관 엔진과 합성연료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화된 내연엔진이 나오게 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람보르기니 리부엘토, STO
람보르기니 리부엘토(왼쪽)와 람보르기니 우라칸 STO의 모습./김정규 기자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람보르기니 순수 전기차 모델에서도 브랜드 특유의 '주행 다이내믹'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람보르기니는 가장 뛰어난 감성의 주행 질감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러한 감성은 전동화 시대에도 달라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전동화 시대에선 가속력은 어느 정도 평준화돼 있지만, 중요한 건 세로 축 가속 외에 횡적인 가속"이라며 "이 부분에서 람보르기니는 그 어떤 브랜드 보다 차별화된 강점을 지니고 있는 만큼 내연기관에서 제공한 '운동 성능'을 전기차에서도 똑같이 선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람보르기니는 탄소중립 시대에 발맞춰 전동화 및 탄소배출 저감 전략 '디레지오네 코르 타우리'을 발표한 바 있다. 브랜드 역사상 최대 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기존 모델의 전동화는 물론 2030년까지 차량당 기업의 총 탄소배출을 2021년 대비 40% 감소시키는 목표를 담고 있다.

그는 "람보르기니는 아주 큰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도 전체 자동차가 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0.001%밖에 되지 않는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면서도 "람보르기니는 중요한 브랜드인 만큼 절대적인 배출량 보다는 더 큰 책임을 지고자 한다"고 했다.

이어 "그런 측면에서 최근 '디레지오네 코르 타우리'라는 탄소 배출 저감 전략을 통해 모든 라인업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선언한 것"이라며 "이를 위해 지난해 최초의 PHEV 모델 '레부엘토'를 소개했고, 올해 8월에는 우라칸의 후속작인 PHEV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람보르기니의 한국 시장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국내 인기 요인에 대해선 자동차 그 자체·람보르기니 스타일·직선형 디자인 등 3가지를 꼽았다.

그는 "한국 시장의 경우 고객들이 오히려 브랜드 홍보 대사 역할을 하는 등 람보르기니에 대해 더 가깝게 느끼고 좋아해준다"며 "앞으로도 슈퍼 트로페오 이벤트 초청, 탄탄한 딜러망 등을 통해 국내 잠재 고객들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스카르다오니 총괄은 향후 한국 시장 수요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양한 고객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고객들은 차별화된 자기만의 차량을 원하는 니즈가 강해 다른 국가 대비 개인화 맞춤생산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며 "본사에서도 이 같은 한국 고객들의 니즈에 접점 마련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