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민중시인 신경림 영결식 치러져

민중시인 신경림 영결식 치러져

기사승인 2024. 05. 24. 22:5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엄수...미발표 시 모아 유고시집 발간 추진
ㅇ
24일 서울대병원장례식장에서 열린 고 신경림 시인 추모제에서 도종환 의원이 고인의 약력을 소개하고 있다./연합뉴스
한국의 대표적인 민중시인 고(故) 신경림의 영결식이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엄수됐다.

24일 저녁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장례식장에서 진행된 영결식에는 200여 명이 참석했다. 시인의 장례가 한국시인협회와 한국문인협회 등 문인단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러진 가운데, 시인의 약력을 소개한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은 "시의 고아가 된 심정"이라면서 애통해했다.

장례위원장을 맡은 원로 문학평론가 염무웅은 조사에서 "그는 시에서 자신의 잘난 모습보다 못난 모습을 더 자주 묘사했다. 독자들은 그의 작품에서 자신들의 감춰진 자화상을 보고 위안과 용기를 얻었다"고 했다.

문정희 국립한국문학관장은 추도사에서 "시인은 죽고 난 후 그의 시가 지상에서 사라질 때 죽는다고 한다"며 "선생의 시는 결코 사라지지 않고 오래 살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료와 후배 문인들의 조시 낭송도 이어졌다. 이근배 시인은 '한 시대를 들어 올린 가난한 사랑노래 온 누리에 펼치소서'라는 조시를 낭독하다가 울음을 터트렸다.

생전 노래 부르기를 좋아했던 고인을 위해 후배 예술인들은 그의 시에 노래를 붙인 곡들도 준비했다. 시 '돌아가리라'에 곡을 붙인 노래를 정태춘 등 민중노래패 '민요연구회' 멤버들이 함께 불렀다.

고인은 25일 오전 5시 30분 발인을 거쳐 고향인 충북 충주의 선영에서 영면에 들 예정이다.

출판사 창비는 유족과 협의를 거쳐 고인의 미발표 시들을 모아 유고 시집을 출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창비는 고인의 1975년 첫 시집인 '농무'와 마지막 시집인 '사진관집 이층'(2014년)을 간행한 바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