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마크롱 방문에도…‘소요 사태’ 뉴칼레도니아서 경찰 총에 민간인 사망

마크롱 방문에도…‘소요 사태’ 뉴칼레도니아서 경찰 총에 민간인 사망

기사승인 2024. 05. 26. 13:1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유권자 확대안에 반발하며 대규모 소요사태
"법안 강행하지 않겠다" 마크롱 방문 바로 다음날 경찰 총에 민간인 사망
"현지 체류 한국인 6명 안전 철수"
NEWCALEDONIA-VIOLENCE/MACRON <YONHAP NO-3807> (via REUTERS)
지난 23일(현지시간) 대규모 소요사태가 발생한 뉴칼레도니아 누메아의 경찰서를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로이터 연합뉴스
프랑스의 유권자 확대안 추진에 반발하고 있는 남태평양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누벨칼레도니)의 유혈소요 사태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방문 이후에도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2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이 소요사태 진정을 위해 뉴칼레도니아를 방문한 바로 다음날인 24일(현지시간) 경찰이 발사한 총에 시위대 1명이 사망했다.

해당 경찰은 차량을 타고 이동하던 중 약 15명의 시위대에게 공격을 받자 총을 사용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칼레도니아 검찰은 "해당 경찰관이 물리적 충돌에서 벗어나기 위해 총을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며 "초기 조사결과 경찰관들의 얼굴에 폭행을 당한 흔적이 있었다"고 밝혔다. 검찰은 해당 경찰관을 연행하고 공무상 과실치사 혐의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뉴칼레도니아에선 지난 13일부터 카나크족을 중심으로 대규모 소요가 발생했다. 프랑스가 뉴칼레도니아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주는 유권자 확대 방안을 추진한 것이 원인이다. 법이 개정될 경우 2만5000여 명이 새롭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얻게 되는데, 분리·독립을 주장해온 원주민인 카나크족은 해당 정책이 원주민의 입지를 좁히고 친프랑스 정치인에게 유리한 정책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카나크족을 중심으로 대규모 소요사태가 벌어지며 프랑스 정부도 지난 15일 최소 12일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경찰과 헌병 등 수백 명을 동원했다. 프랑스가 본토 밖 프랑스령에 대한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1985년 뉴칼레도니아에 조처했을 때 이후로 약 39년 만이다.

소요 사태 발생 이후 뉴칼레도니아의 수도 누메아와 파이타 등에선 총격 등이 발생하고 상점 약탈·공공건물에 대한 방화와 훼손이 이어지며 현재까지 민간인 5명·헌병 2명 등 총 7명이 사망하고 수백명이 부상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23일 뉴칼레도니아를 찾아 투표권 확대 개헌안을 강행하지 않겠다며 사태 진정에 나섰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 대규모 소요사태 이후 처음으로 경찰에 의한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하며 사태가 더욱 악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 뉴칼레도니아에 체류 중이던 우리 국민 전원은 26일 안전하게 철수했다. 외교부는 이날 "정부는 25일 뉴칼레도니아 수도 누메아에서 철수를 희망한 우리 국민 6명 전원이 프랑스 정부의 협조를 통해 항공편으로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라고 밝혔다.

인구 29만 6000여 명의 뉴칼레도니아는 1853년 프랑스의 식민지가 됐다. 1988년 마티뇽 협정과 1998년 누메아 협정을 통해 뉴칼레도니아에 상당 부분 자치권을 이양했지만 프랑스 정부가 의도적으로 백인을 이주시키며 카나크 원주민의 비율은 40%에 불과하다. 누메아 협정에 따라 2018년·2020년·2022년 3차례 실시된 독립 찬반 주민투표에선 반대표가 더 많았지만 카나크족은 분리·독립을 지지하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