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4년반만 마주한 한일중 경제계…“실무협의체 신설 추진”

4년반만 마주한 한일중 경제계…“실무협의체 신설 추진”

기사승인 2024. 05. 27. 13: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27일 상의회관 3국 경제단체 한자리
경제활성화·지속가능발전 등 협력 강화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가운데)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왼쪽), 런홍빈 CCPIT 회장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서 3국 경제단체 공동성명서에 서명을 마친 뒤 박수치고 있다. /송의주 기자
한일중 경제계 대표들이 3국간 실질적인 경제 협력을 위해 실무협의체를 신설하겠다고 다짐했다. 지난 2019년 이후 약 4년5개월 만에 한자리에 모인 이들은 그간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높은 수준의 경제 협력이 부족했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이를 강화할 실직적인 협의체 마련이 필요하다고 봤다.

대한상의,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China Council f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 등 3국 경제단체는 27일 상공회의소회관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서 공동으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의 실행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서밋 주제 발표에서 논의된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오전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이번 서밋에는 각 국을 대표하는 기업인과 각 국 정부관계자 등 280여명이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 손경식 경영자총협회 회장, 최진식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 등 경제단체를 비롯해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이희범 부영그룹 회장, 명노현 LS 부회장 등 기업인들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 90여명이 참석했다.

일본 측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을 비롯해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파이낸셜 선임고문, 히가시하라 도시아키 히타치제작소 회장, 구보타 마사카즈 경단련 부회장 등 90여명의 기업인과 정부관계자가 참석했다.

중국 측에서도 런훙빈 CCPIT 회장을 비롯해 자오둥 중국석유화학그룹 총경리, 린슌지에 중국국제전람센터그룹 동사장, 리둥성 TCL과학기술그룹 동사장, 천지엔화 헝리그룹 동사장 겸 총재 등 100여명의 기업인과 정부관계자가 참석했다.

공동성명서에는 경제 활성화·지속가능한 발전·실무협의체 신설 등 세 가지 주요 주제로 나눠 3국이 협력하겠단 다짐을 담았다. 먼저 3국 경제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과 교역활성화, 공급망 안정화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그린 전환과 고령화 대응, 의료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을 3국간 민간 경제협력 회의체로 내실화하기 위해 '실무협의체'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포함했다.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그간 코로나 팬데믹 등의 공백으로 한일중간 경제협력을 실질적으로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이번에 3국 경제단체간 실무협의체가 구성되면 비즈니스 포럼을 경제협력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앞으로 보다 실질적인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공동성명서의 바탕이 된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경제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등 두 가지 주제로 각국 연사들의 기조 연설과 기업인들의 논평이 이어졌다.

첫 번째 주제인 경제활성화에 대해서는 한국의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 일본의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파이낸셜 수석고문, 중국의 린슌지에 중국국제전람센터그룹 동사장이 발표자로 나서 디지털 전환, 교역 활성화, 공급망 안정화 분야에서의 협력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어 한국의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 일본의 히가시하라 도시아키 히타치제작소 회장, 중국의 천지엔화 헝리그룹 동사장이 논평에 나서 각 분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두 번째 주제인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 한국의 주현 산업연구원장, 일본의 히가시하라 도시아키 히타치제작소 회장, 중국의 자오동 중국석유화학그룹 총경리는 그린 전환, 고령화 대응, 의료 분야의 협력 필요성을 제안했다. 이어지는 논평에는 한국의 김영주 종근당 대표이사, 일본의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파이낸셜 수석고문, 중국의 리동성 TCL과학기술그룹 동사장이 나서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