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쓴 것도 없는데”…텅 빈 주머니 주범 ‘먹거리물가’

“쓴 것도 없는데”…텅 빈 주머니 주범 ‘먹거리물가’

기사승인 2024. 05. 27. 15:0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먹거리 물가 상승률, 7분기째 가처분소득 증가율 앞질러
소비자단체 "원가 하락분, 신속히 반영해야"
실질소득
사진은 지난 23일 오후 서울 명동 거리./연합
올해 1분기까지 7개 분기 연속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외식과 장바구니 부담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분기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에서 37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가처분소득은 이자 등을 지급하고 남은, 가계가 자유롭게 소비·저축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8배에 달했다.

가공식품으로 봐도 올해 1분기 물가상승률은 2.2%로 가처분소득보다 1.6배 높았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에서는 절반이 넘는 44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상회했다. 품목별로 보면 설탕(20.1%)과 소금(20.0%), 스프(11.7%),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은 10% 넘게 상승했다. 다만 유산균(-7.9%), 김치(-5.2%), 라면(-4.3%) 등 일부 품목은 내리는 등 소비자물가 완화 기조에 동참했다.

이날 한국은행에서는 고물가 완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을 담은 보고서를 내놨다. 최근 이어진 소비자물가 상승이 자산보유가 많은 고령층의 재산가치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전세자금에 묶인 청년·저소득층의 자산 가치 감소, 소비 타격도 불러일으켰다는 지적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가 2021년 이후 최근까지 13% 가까이 오르면서 민간 소비 증가율은 5%p가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소비자단체는 식품업체들이 원가 하락분을 신속하게 가격 하락에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23일 성명서를 내고 "기업은 원가 하락의 변화가 있다면 원가 상승 때와 마찬가지로 이를 소비자가에 빠르게 적용해 소비자가격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식품기업과 유통기업들이 비정기적인 할인 이벤트보다 선도적으로 소비자 지향적인 가격 인하를 발표한다면 소비자의 선호도는 더 크게 올라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