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단독] 장애인 고용률 1%대… 5대은행, 年 부담금만 200억 훌쩍

[단독] 장애인 고용률 1%대… 5대은행, 年 부담금만 200억 훌쩍

기사승인 2024. 09. 09. 18: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직원 7만명 중 장애인은 1000명 미만
은행별 고용부담금 최대 46억원 달해
"말로만 ESG" 사회적 책임 외면 질책
"대면업무 많아 채용 어려워" 토로
채용 후에도 적응 못해 조기이탈 多
직원 수가 1만명이 훌쩍 넘는 5대 은행에서 수년간 장애인 고용률이 1%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은행에서 0%대 고용률을 기록한 곳도 있었다. 이 때문에 5대 은행에서만 매년 200억원이 넘는 고용 부담금을 내고 있다. 장애인 고용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등한시 한 채 돈으로 때운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이들 은행은 금융소비자와의 대면업무가 많은 상황에서 장애인 고용이 쉽지 않고, 채용을 하더라도 조기 이탈하는 경우도 많다고 토로하고 있다.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5대 은행 장애인 고용률 및 고용부담금 현황'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장애인 고용률은 2021년 1.182%, 2022년 1.2%, 2023년 1.28%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은행의 상시 근로자 수가 7만명 수준이지만, 장애인 고용인원은 1000명에도 못미쳤다.

올해 상반기에는 예년보다 소폭 개선됐지만, 장애인 고용률은 1.326%로 여전히 1% 초반대에 그치고 있다. 민간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3.1%인 점을 고려하면, 5대 은행의 장애인 고용 의무 이행률은 낙제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5대 은행은 매년 200억원에 달하는 고용부담금을 내고 있었다. 2021년 199억원6200만원에서 지난해에는 205억원300만원으로, 부담금 규모도 커졌다. 은행별 부담금은 적게는 34억원 많게는 46억원에 달했다.

은행별로도 상당한 격차가 있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 1.6%대로 의무고용률의 절반 수준을 넘는 은행이 있는가 하면, 일부 은행은 겨우 1.0%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ESG경영을 강조하고 있는 은행들이 장애인 고용 확대라는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돈으로 때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주영 의원은 "5대 은행이 장애인 고용이 법적 의무인원조차 맞추지 않아 부담금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매년 국감에서 지적되고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지만, 일단 모면하자는 자세로 임하다보니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5대 은행은 은행 업무 특성상 장애인 채용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는 입장이다. A은행 관계자는 "사회초년생 장애인은 지적장애, 자폐 등의 발달 장애인 비율이 높다. 연령이 올라갈수록 신체가 불편한 지체장애의 비율이 올라가는데 은행 근무 특성상 몸을 많이 쓰기보다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지가 가장 중요해 고용이 가능한 장애인의 모수 자체가 적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장애인 채용이 이뤄져도 금융권 업무의 난이도가 높아 중도 이탈하는 경우도 많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행은 공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 고용 확대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다. 김 의원은 "장애인 의무고용은 기업의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이자 실천"이라며 "부담금으로 때우고 보자는 식의 대응이 아닌, 장애인에 대한 고용 차별을 금지하고, 장애인의 고용기회를 보장해 실제 우리 사회가 다양성 존중을 실현할 수 있도록 애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은행들도 장애인 고용 확대 노력을 높여가겠다는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새로운 직무 발굴이나 대학과의 업무협약, 장애인 표준사업장 연계 고용 등을 지속 확대하며 장애인 채용을 늘려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