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전성 지표는 악화…연체채권 증가에 연체율 9%
상반기 NPL 자회사 설립…공동매각·펀드 조성도 지속
|
2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익 440억원을 기록했다. 1543억원 순손실을 냈던 작년 1분기와 비교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선제적인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충당금 전입액이 전년 동기보다 3000억원가량 줄어들면서 손실규모가 개선됐다는 설명이다.
1분기 기준 업계의 총자산은 118조6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2조3000억원가량 감소했다. 이중 여신자산은 같은 기간 1조4000억원 줄어든 96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여신 감소는 대부분 기업대출에서 나타났다. 기업대출 잔액은 1조2000억원 감소한 48조2000억원으로 집계됐고, 가계대출 잔액은 40조4000억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수신은 작년 말보다 2조6000억원이 줄어든 99조6000억원을 기록, 잔액 100조원 아래로 내려왔다. 그간 보수적이었던 영업 기조와 수신 만기구조 조정에 따른 여유자금 축소 등으로 수신규모가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자기자본 규모는 14조5000억원으로, 작년 말과 동일한 수준을 나타냈다.
여신 규모가 줄면서 전체 저축은행업권의 이자이익도 소폭 줄었다. 79개 저축은행의 1분기 말 이자이익 총합은 1조3489억원으로, 작년 1분기대비 599억원 감소했다. 판매관리비는 같은 기간 81억원 증가한 4184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흑자 전환을 달성했지만, 영업력 개선보다는 충당금 전입액 감소의 영향이 컸던 셈이다.
건전성 지표는 다소 악화됐다. 저축은행업권의 평균 연체율은 작년 말 대비 0.48%포인트 상승한 9%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3.65%로 0.84%포인트 급등했고, 가계대출 연체율은 4.72%로 0.19%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여신의 증가와 여신 잔액 감소로 인한 모수효과로 연체율이 다소 악화됐다는 설명이다. 다만 부실채권 매각 등 적극적인 자구 노력으로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10.59%를 기록, 같은 기간 0.07%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경영안정성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28%로 위험가중자산 축소와 자기자본 증가에 힘입어 법정기준 대비 2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동성비율과 대손충당금적립률도 각각 207.3%, 112.6%를 기록, 법정기준인 100%를 웃도는 모습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 시장의 회복 지연과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영업 환경의 부정적 변수가 많은 상황이지만, 지속적인 부실채권 정리를 바탕으로 수익성과 건전성은 꾸준히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당분간은 경영안정성을 중심으로 한 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를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중앙회는 올해 상반기 내 NPL 자회사를 설립,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업무를 개시한다는 구상이다. 또 개인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에 대해선 중앙회 중심으로 공동매각을 지속 추진해 부실채권 해소를 가속화한다. 부동산 PF대출 부실정리는 경·공매와 저축은행 공동 펀드를 조성해 건전성을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올해에도 정책, 감독당국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영업실적 및 건전성 지표 개선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며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위해 햇살론과 사잇돌2, 중금리 대출 등은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